주식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진단모형 개발의 경영학적 연구

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식투자자의 행위를 경영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진단모형 개발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개별 상장기업의종목토론 게시판에서 주식투자자들의 게시글 4,460건을 모아 4가지 행위 요소로 분류한 후 각 행위들과심리요소, 인지행동 요소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도구는인과지도(CLD)를 통해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추출한 예비문항을 재검사, 동형검사, 상호관찰자 기법과계량화된 방법, 준거와 예측결과의 관련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35(2) pp. 105 - 123
Main Authors 이경윤, 이종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3.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주식시장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식투자자의 행위를 경영학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진단모형 개발이 반드시 필요함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개별 상장기업의종목토론 게시판에서 주식투자자들의 게시글 4,460건을 모아 4가지 행위 요소로 분류한 후 각 행위들과심리요소, 인지행동 요소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도구는인과지도(CLD)를 통해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추출한 예비문항을 재검사, 동형검사, 상호관찰자 기법과계량화된 방법, 준거와 예측결과의 관련성을 통해 내용과 구성을 정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예비문항의 신뢰도와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개인투자자의 심리상태와 인지행동이 투자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투자행위가 손실 또는수익 결과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실증적인 통계분석 기법을 통해 연구대상에 적용하여 구체적 근거와 결과를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진단모형 개발을 통해 일반투자자는 주식중독을 예방하여 건강한 투자자가 되게 하고, 이미 중독이 되어 있는 투자자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중독 수준과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향후 교육이나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할 것이다. 경영학적인 관점에서 주식투자자에대한 진단모형 개발은 상장기업 및 투자회사가 주식투자자의 심리를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근거로 전략적인 마케팅을 통해 매출구조를 개선하는 등 경영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개인투자자의주식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던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주식시장 활성화를 통해 가계경제와 기업경제개선 및 국가경제 개선의 선순환을 이뤄낼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behavior of stock investors, a major stakeholder in the stock market, from a business point of view. After collecting the 4,460 postings of stock investors on the bulletin board for stock discussions of individual stocks listed on the stock market through internet search and classifying them into 4 behavioral elements of stock investors, and then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behavior, psychological and cognitive behavioral factors. As a research tool,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rough causal maps and preliminary questions extra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content and composition through retesting, homomorphic test, mutual observer technique and quantified method, and relevance between criteria and prediction results. The effect of individual investors' psychological state and cognitive behavior on investment behavior and the correlation of investment behavior on loss or profit results were applied to the research subjects through empirical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nd specific rational and results were presen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ch a diagnostic model, ordinary investors can prevent stock addiction and become healthy investors, and, investors who are already addicted can understand the level and cause of addiction in detail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manage it. And the model will play a very useful role in establishing future education or treatment plans for stock investors. From a business point of view,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model for stock investors will help listed companies and investment companies identify stock investors' psychology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and, based on this, will contribute to business revitalization such as improvement of sales structure through strategic marketing. And it will help to reduce the enormous social costs caused by individual investors' stock addiction an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devic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