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도』의 여성주의적 독해 — 여성 목소리의 시작점과 합류점을 찾아서

『화산도』에서 여성인물의 의식을 주목하면 4·3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인식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것이 가능한 까닭은 여성인물의 의식이 생성되는 자리가 남성의 의식이 놓인 자리와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남성이 인식과 발화의 정통성을 독점한 상태일 때 여성은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자리에서 4·3을 조망한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 중심으로 직조된 4·3 인식에 대하여 위화감을 느끼고, 여성의 그러한 감각은 4·3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탐색과 사유를 산출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여성은 현실과 연결된 유·무형의 자원으로부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문학연구, 0(54) pp. 242 - 283
Main Author 장은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여성문학학회 01.1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1..54.24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화산도』에서 여성인물의 의식을 주목하면 4·3을 새롭게 볼 수 있는 인식적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것이 가능한 까닭은 여성인물의 의식이 생성되는 자리가 남성의 의식이 놓인 자리와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남성이 인식과 발화의 정통성을 독점한 상태일 때 여성은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자리에서 4·3을 조망한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 중심으로 직조된 4·3 인식에 대하여 위화감을 느끼고, 여성의 그러한 감각은 4·3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탐색과 사유를 산출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여성은 현실과 연결된 유·무형의 자원으로부터 소외된 탓에 기존 질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현실을 재구성한다. 그러한 이유로 여성의 자리에서 송출되는 ‘역사’에 대한 발화는 기존의 언어로는 번역할 수 없는 형태로 굴절되면서 낯선 언어로 재구성되고 채워진다. 이렇듯 여성의 현실은 안정된 질서라고 여겨졌던 것들을 교란하고 위협하면서 4·3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시각을 통해 4·3을 재인식하려는 시도는 역설적이게도 여성이라는 존재의 실존적 취약성 때문에 대범하고 전위적인 기획이 된다. 이상의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 논문의 2장에서는 4·3으로부터 여성들의 존재가 지워질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추궁한다. 이어서 3장에서는 여성에 대한 『화산도』의 서사적 ‘재현’이 어떠한 문제를 노정하는지 살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4·3과의 관계 속에서 여성들의 능동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조명한다. 구체적으로 『화산도』의 여성인물 세 명을 조명한다. 투사 부엌이, 혁명의 연대자인 이유원, 남성의 관념을 교란하는 문난설이 그들이다. 이처럼 『화산도』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에 주목함으로써 4·3 비극성을 강조하는 방식이 아닌 ‘혁명’으로서의 4·3에 대한 가능성을 사유할 수 있는 틈새를 열어젖히고자 한다.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female characters in Hwasando enables a reconceptualization of the 4·3(Jeju Uprising). This is possible because women’s and men’s consciousnesses are in different places. Men monopolize the sphere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women view the 4·3 from an exceptional and “abnormal” position. In this context, women feel uncomfortable with the understandings of the 4·3 contained in the writings of men. Woman’s senses and impressions function as the condition that produces new ways of exploring and thinking about the 4·3. Women are alienated from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at are connected with reality. Therefore, it reconstructs reality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rder. In such a situation, women’s utterances about “history” become distorted and are subsequently reconstructed using unfamiliar language. The reality of women reveals a new aspect of the 4·3 by disturbing and threatening the existing order. Therefore, rather ironically, the attempt to reconceptualize the 4·3 through feminism is an avant-garde project due to the existential weakness of women. Building on this critical consciousness, Chapter 2 asks why women were removed from the history of the 4·3. Chapter 3 examines problems with the representations of women in Hwasando. Finally, Chapter 4 examines how women’s initiative is expressed in relation to the 4·3. Specifically, this chapter focuses on the three women in Hwasando. They are Bueoki, a warrior, Lee yoo-won, who is in solidarity with the revolution, and Mun nan-seol, who disturbs the concept of male. In this way, by focusing on the female characters in Hwasando, this essay seeks to provide a basis for thinking about the 4·3 as a “revolu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632
2733-5925
DOI:10.15686/fkl.2021..54.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