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환자의 감압 후궁절제술 후 척추경 부전 골절: 증례 보고 2예
연구계획: 증례 보고목적: 장기간 혈액투석 환자에서 요추 수술 후 척추경 부전 골절이 발생한 증례를 체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생역학 분석에서 척추경과 척추체 사이의 접합부는 취약한 부분 중 하나이다. 비정상적인 뼈 상태에서 부분 후궁 절제술을 시행하면 척추경 주위에 스트레스가 더 집중될 수 있다. 척추 수술 후 척추경 부전 골절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명의 고령 환자에서 감압 부분 후궁 절제술 후 새로 발생한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움직임에 더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
Saved in:
|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147 - 151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12.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 Summary: | 연구계획: 증례 보고목적: 장기간 혈액투석 환자에서 요추 수술 후 척추경 부전 골절이 발생한 증례를 체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생역학 분석에서 척추경과 척추체 사이의 접합부는 취약한 부분 중 하나이다. 비정상적인 뼈 상태에서 부분 후궁 절제술을 시행하면 척추경 주위에 스트레스가 더 집중될 수 있다. 척추 수술 후 척추경 부전 골절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명의 고령 환자에서 감압 부분 후궁 절제술 후 새로 발생한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움직임에 더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는양상이었다. 심한 통증을 일으킬 만한 외상의 병력은 없었다. 또한, 이전 수술중에 특별한 이벤트는 없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이전 감압 추궁 절제술한 부위에서 척추경 부전 골절이 확인되었다.
결과: 2명의 환자 모두 추적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에서 척추경 부전골절 부위의 골유합을 보였다. 그리고 2명 모두 동통이 완화되었고 임상적으로 좋은결과를 보였다.
결론: 오랜 혈액 투석 병력이 있는 환자의 골질은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감압 추궁 절제술을 주의 깊게 시행해야 한다. 이런 환자들에게서 성공적인 척추수술 후에, 저명한 운동성 통증이 새로 발생한다면 척추경 주위 부전 골절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our experiences of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who had pedicle stress fractures after decompressive laminectom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junction between the pedicle and vertebra body is a weak point in biomechanical testing. When partial laminectomy is performed in an abnormal bone condition, stress may be more concentrated around the pedicle. There are rare reports of pedicle stress fractures after spinal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o elderly patients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newly developed pain after they underwent partial decompressive laminectomy. They presented with severe back pain during motion that was relieved by rest. There was no trauma history or event they remembered that could evoke such severe pain. In addition, there were no notable events during the previous surgery.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pedicle insufficiency fractures at the previous decompressive laminectomy segment.
Results: Both patients revealed bony union at the previous fracture site on follow-up CT. Their pain improved and their clinical results were favorable.
Conclusions: Bone quality may be poor in patients with a long history of dialysis, and decompressive laminectomy should be performed carefully. If notable pain during motion newly develops after successful spinal surgery in these patients, pedicle stress fracture should be suspected as a possible cause.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