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특성에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학년(F=4.25, P=0.01), 종교(t=0.70), 학과 및 계열(F=7.50, P=.0001), 성격(F=6.406, P=0.001), 대학 생활만족도(F=8.09, P=0.001), 평균 성적(F=5.37, P=0.0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6(9) pp. 181 - 188
Main Authors 이화명, 박효진, 유은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9.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1.26.09.1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인 특성에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는 학년(F=4.25, P=0.01), 종교(t=0.70), 학과 및 계열(F=7.50, P=.0001), 성격(F=6.406, P=0.001), 대학 생활만족도(F=8.09, P=0.001), 평균 성적(F=5.37, P=0.005) 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취업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r=-.439, p<.001), 전공만족도(r=-.377, p<.001), 외모만족도(r=-.273, p<.001)에서 부적 상관관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외모만족도을 높이기 위한 관련된 통합적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고, 다양한 변인에 대한 반복적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to suggest suggestions for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B metropolitan city,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22.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 in grade (f=4.25, P=0.01), religion (t=0.70), department and department (F=7.50, P=.0001), personality (F=6.406, P=0.001),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f=8.09, P=0.001), and average score (f=5.37, P=0.005). The employment stress of the subjec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r=-.439, p<.001), major satisfaction(r=-.377, p<.0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r=-.273, p<.001).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in order to reduce the employment stress of college students, and repetitive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KCI Citation Count: 2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1.26.09.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