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과 교육의 대학생 인식검사에서 학년과 캠퍼스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학년에 따라 그리고 소속된 캠퍼스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년과 캠퍼스를 집단변수로 Rasch 모형을적용하여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비교과 교육과정의 효과성 1개 문항과 온라인 비교과프로그램의 효과성 2개 문항은 동일한 인식점수를가진 2,3,4학년에 비해 1학년의 인식이 더 높았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선요구 4개 문항은 2,3,4학년의요구가 더 높았다. 둘째, 캠퍼스에 따른 차...
Saved in:
Published in | 교양교육연구, 15(3) pp. 239 - 25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양교육학회
01.06.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3212 2714-110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학년에 따라 그리고 소속된 캠퍼스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년과 캠퍼스를 집단변수로 Rasch 모형을적용하여 차별기능문항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비교과 교육과정의 효과성 1개 문항과 온라인 비교과프로그램의 효과성 2개 문항은 동일한 인식점수를가진 2,3,4학년에 비해 1학년의 인식이 더 높았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선요구 4개 문항은 2,3,4학년의요구가 더 높았다. 둘째, 캠퍼스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에 대해 살펴보면, 비교과 교육과정의 인식 1개문항은 수원캠퍼스 재학생의 인식이 더 높았고, 4개 문항은 서울캠퍼스 재학생의 인식이 더 높았다.
비교과 교육과정의 효과성 4개 문항은 수원캠퍼스 재학생의 인식이 더 높았다. 온라인 비교과프로그램의효과성 1개 문항은 오프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원캠퍼스 재학생의 인식이 더 높았다.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선요구 1개 문항은 서울캠퍼스 재학생의 요구도가 더 높았으나, 3개 문항은 수원캠퍼스 재학생의요구도가 더 높았다. 이를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은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운영하고, 공간 제약없이 수강가능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점검하고 양적으로 보충하는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percep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differs according to both the grade level of the students and the campus being atte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cerning DIF by grade level, the percep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higher for students in the first grade in regards to 1 item pertain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ir extracurricular work, and 2 of the items connec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Moreover, the percep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higher for students in the 2nd, 3rd and 4th grades regarding the 4 items requiring the improvemen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Second, concerning DIF(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by camp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attending a campus in Suwon answered higher when it came to the recognition of 1 item within their extracurricular work, while students attending a campus in Seoul answered higher regarding 4 items. The 4 items pertain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ir extracurricular work were higher for Suwon campus students as far as the number of responses were concerned. Students attending the campus in Suwon responded in higher numbers to quest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program, just as with their responses regarding their offline work. 1 item regarding the comparis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was higher for students of the Seoul campus.
However, the thre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students attending the Suwon campus were answered in greater numbers.
Through this study, the extracurricular work of students should be operated so that various programs tailored to their needs can be designed. In addition, efforts are needed to qualitatively check and quantitatively supplement online programs that can be taken without any space constrain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6-3212 27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