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단층 중부 원원사단층의 운동특성과 시기
활성단층의 단층변수를 도출하는 것은 지진재해 대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울산단층대의 동편에서 최근 확인된 원원사단층 제2지점을 상세히 기재하고, 활동시기 등의 단층변수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단층노두는 흑운모 화강암을 염기성 암맥이 관입하고 있으며, 이 관입경계를 따라 역단층의 운동감각으로 전단되어, 기반암 상위에 퇴적된 제4기 하성퇴적층을 절단하고 있다. 변위량은 기반암과 제4기층의 부정합면을 기준으로 약 42 cm의 수직 낙차가 인지되나, 단층면과 단층조선 등을 활용하여 계산된 실변위량은 약 46...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7(1) pp. 35 - 48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1.57.1.35 |
Cover
Summary: | 활성단층의 단층변수를 도출하는 것은 지진재해 대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부울산단층대의 동편에서 최근 확인된 원원사단층 제2지점을 상세히 기재하고, 활동시기 등의 단층변수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단층노두는 흑운모 화강암을 염기성 암맥이 관입하고 있으며, 이 관입경계를 따라 역단층의 운동감각으로 전단되어, 기반암 상위에 퇴적된 제4기 하성퇴적층을 절단하고 있다. 변위량은 기반암과 제4기층의 부정합면을 기준으로 약 42 cm의 수직 낙차가 인지되나, 단층면과 단층조선 등을 활용하여 계산된 실변위량은 약 46 cm이다. 절단된 퇴적층에서 획득한 광여기루미네선스(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연대측정결과 상반의 퇴적층은 약 6천 년, 하반의 퇴적층에서는 약 3천 년의 매몰연대가 도출되었고, 우주선유발동위원소인 10Be을 활용한 지형면의 노출연대는 약 9천년으로 측정되었다. 연대측정법에 따라 결과 값의 차이는 있지만, 여러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이 단층이 홀로세에 활동한 것은 분명하다. 10Be의 유전량을 고려한다면, 노출연대는 최대연대를 지시하며 이보다 젊은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가 실제 단층활동연대에 가까울 것이다.
따라서 약 3,600년 전인 홀로세에 지표파열을 수반한 단층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울산단층대에서 보고된 제4기 단층활동 중 가장 젊은 활동연대를 지시한다. Deriving paleoseismological fault parameters of active faults is essential for earthquake disaster pro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cument the fault characteristics of Wonwonsa fault, which was recently reported in the 2nd fault outcrop on the eastern side of the Ulsan fault, and to provide fault parameters, such as the timing of activity. The fault slipp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biotite granite and andesitic dike, and cuts Quaternary fluvial deposits, which deposited above basement rock. Vertical separation of about 42 cm is recognized based on the unconformity surface between the bedrock and the Quaternary fluvial deposit, but net-slip using fault geometry is calculated to be 46 cm. The burial ages of the fluvial deposits are ca. 6 ka (hanging wall part) and ca.
3 ka (footwall part) based on th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dating. The boulder's exposure age, which is located on the terrace surface using 10Be, was ca. 9,000 years.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dating methods, it is interpreted that this fault slipped at least once during the Holocene. Because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the inheritance although it is minimal considering the steep mountain stream, the 10Be exposure had better be taken as a maximum. So, the OSL age may be near to the real age. This fault seems to have been activated after 3,600 years ago, implying that an earthquake with the surface rupture occurred during the Holocene. This result indicates the youngest active faulting age among the Quaternary faults reported along the Ulsan fault.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1.57.1.35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1.57.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