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이후 국내 교육 동향 분석: 비대면 교육 중심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통합하여 코로나19 이후 시행되고 있는 국내 교육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비대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된 문헌고찰 연구이다. 분석 논문은 202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코로나19 교육 관련 논문 총 35편이 최종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분야는 교육(45.7%)과 예술(17.1%), 교육주제는 영어교육(25.7%)과 미술(14.3%)이 많았으며, 대상자는 학...
Saved in:
Published in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9(4) pp. 377 - 390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12.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12.0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통합하여 코로나19 이후 시행되고 있는 국내 교육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비대면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행된 문헌고찰 연구이다. 분석 논문은 202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코로나19 교육 관련 논문 총 35편이 최종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분야는 교육(45.7%)과 예술(17.1%), 교육주제는 영어교육(25.7%)과 미술(14.3%)이 많았으며, 대상자는 학생이 80%로 대학생이 42.9%이었다. 비대면 교육의 성공요인은 상호작용, 학습효과와 접근편이성, 개선점으로는 소통문제, 학습장애요인, 시스템 불안정 및 기관의 지원 부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되는 세계적 의료위기 속에서 비대면 수업이 정착화 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학습 성과 달성을 위한 비대면 교육 방법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study conducte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the problems encountered in domestic education conducted after COVID-19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omestic education after Corona 19 and integrating the results. The analysis paper was 35 papers related to Corona 19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20 to September 2020. The research fields were education and art, and the subjects of education were English education and art, and 42.9% were college students. Success factors were interaction, learning effect and accessibility. Improvements were communication problems, learning disabilities, system instability, and lack of support from institu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non-face-to-face classes amid the ongoing global medical crisi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to achieve learning outcom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067_486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