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도이드 분석에 의한 동해-1 가스전의 가스·컨덴세이트 생성 유효근원암 고찰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의 동해-1 가스전에서 채취한 컨덴세이트 시료에 대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기(GC-MS) 분석법에 의하여 다이아몬도이드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damantane은 17개 화합물, diamantane은8개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다이아몬도이드 화합물의 분석치를 퇴적환경을 지시해 주는 다이어그램에 도시하여 본 결과, 동해-1 가스전의 컨덴세이트는 호성(lacustrine)환경 또는 해양쇄설(marine clastic)퇴적환경에서 퇴적된 근원암으로부터 생성된 것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울릉분지의 열개시에 퇴...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6(5) pp. 525 - 53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10.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5.525 |
Cover
Summary: |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의 동해-1 가스전에서 채취한 컨덴세이트 시료에 대해 가스크로마토그라피-질량분석기(GC-MS) 분석법에 의하여 다이아몬도이드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damantane은 17개 화합물, diamantane은8개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다이아몬도이드 화합물의 분석치를 퇴적환경을 지시해 주는 다이어그램에 도시하여 본 결과, 동해-1 가스전의 컨덴세이트는 호성(lacustrine)환경 또는 해양쇄설(marine clastic)퇴적환경에서 퇴적된 근원암으로부터 생성된 것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울릉분지의 열개시에 퇴적된 호성퇴적물(syn-rift lacustrine sediment)과 열개 이후 분지확장기에 퇴적된 해양주변 퇴적물(marginal marine sediment) 이 근원암의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분지 열개시기와 확장기의 좁고 깊은 분지형태와 퇴적환경은 탄화수소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퇴적물과 유기물을 퇴적시켰을 것이며, 또한 근원암을 발달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근원암 내에서 혹은 저류층에서 원유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컨덴세이트나 가스로 크래킹되었을 것이다. Diamondoid compound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on condensate samples collected from the Donghae-1 gas field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Ulleung Basin, offshore southeastern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venteen compounds were identified for adamantane and eight compounds for diamantane. On a diagram of source rock environments, the diamondoid compounds are plotted in the realm of lacustrine to marine clastic settings, indicating that the Donghae-1 condensates are derived from a source rock deposited in the lacustrine or marine environment. Therefore, it suggests that lacustrine sediments at a syn-rift phase and marginal marine sediments at a post-rift phase were developed as source rocks. Deep and narrow geometry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were favorable for the supply of the sediments with organic matter, which were later developed into the source rock and generated hydrocarbons. Crude oil may have been cracked into gas or condensate within the source rock or in the process of migration in reservoir bed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0.56.5.525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5.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