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생화분을 이용한 화석화분기반의 정량적 고기후 복원: 연구방법 소개 및 사례연구

1980년대 이래 화분화석은 과거의 기후를 정량적으로 복원하는 지시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화분화석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고기후를 정량적으로 복원하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화분화석기반의 정량적인 고기후 복원을 위해서는 현생화분 군집 자료와 정확한 기후 자료 및 현생화분 군집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방법론 선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의 현생화분 군집 자료와 WorldClim2.1 기후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리산의 현생화분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기후를 생산하는 방법인 Modern Analogue Techniqu...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6(5) pp. 587 - 603
Main Authors 이재영, 전창표, 이상헌, 김동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20.56.5.5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1980년대 이래 화분화석은 과거의 기후를 정량적으로 복원하는 지시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화분화석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고기후를 정량적으로 복원하는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화분화석기반의 정량적인 고기후 복원을 위해서는 현생화분 군집 자료와 정확한 기후 자료 및 현생화분 군집의 특성에 따른 최적의방법론 선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의 현생화분 군집 자료와 WorldClim2.1 기후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리산의 현생화분 자료를 바탕으로 정량적인 기후를 생산하는 방법인 Modern Analogue Techniques (MAT)와 Weighted Averaging-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WA-PLS)을 비교한 결과, WA-PLS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WA-PLS에서 생산된 화분-기후 전달함수를 지리산 왕등재늪에서 보고된 화석화분 자료에 적용하여 과거 1,000년 동안의 고기후를 정량적으로 복원하였다. 복원된 연평균기온은 6.5~9.3℃, 연강수량은 1,550~1,770 mm의 범위를 각각 가진다. 복원된 연평균기온은 약 AD 1150년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며, 이시기는 소빙기로 추정된다. 강수량은 소빙기로 추정되는 시기에 증가하며 동아시아의 소빙기 시기 강수량의 특성과 비교해본 결과, 지리산 지역은 장주기성 엘니뇨현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1980s, fossil pollen-based quantitative paleoclimate reconstruction (PqPR) has been conducted on the basis of modern pollen-climate relationships, however few this work was carried out in Korea. The PqPR requires not only the modern pollen assemblages and climate data, but als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quantitative techniques. We analyzed modern pollen assemblages of surface sediment collected along every 100 m altitude from the Mt. Jiri. We compared the spatially interpolated weather data using R package Meteoland with results obtained by bilinear interpolation of WorldClim2.1 dataset. The results showed that WorldClim2.1 dataset was better appropriate for the mountains in Korea. Additionally, Weighted Averaging-Partial Least Squares (WA-PLS) for PqPR more outperform than Modern Analogue Techniques (MAT)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performance of MAT and WA-PLS. From the pollen records of the Wangdeungjae moor of Mt. Jiri, the PqPR using by the transfer function over the last millennium was performed. The mean annual temperature (Tann) ranged from 6.5 to 9.3℃, and the annual precipitation (Pann) from 1,550 to 1,770 mm. The Tann decreased abruptly at AD 1150, while the Pann increased distinctly, reflecting wet conditions during the Little Ice Age (LIA). The wet LIA is likely to be caused by the long-term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ENSO).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14770/jgsk.2020.56.5.587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20.56.5.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