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층처분장의 장기 안전성 평가를 위한 지질환경 진화 연구 사례 검토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 개념에서 처분장은 처분 후 수만 년에서 수십만 년 동안 방사성 핵종을 고립시키거나 그 이동을 지연시켜야 하기 때문에 장기 안전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지하 처분장의 장기 안전성과 관련한 지구조 및 지질환경 진화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핀란드, 스웨덴, 그리고 일본 등 원자력 선도국들의 연구를 살펴보면, 각 국은 자국의 지리 및 지질환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지질환경 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심층처분을 위하여 진행될 국내 장기 지질환경 진화 연구역시, 안전...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6(5) pp. 641 - 65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10.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5.641 |
Cover
Summary: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 개념에서 처분장은 처분 후 수만 년에서 수십만 년 동안 방사성 핵종을 고립시키거나 그 이동을 지연시켜야 하기 때문에 장기 안전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지하 처분장의 장기 안전성과 관련한 지구조 및 지질환경 진화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핀란드, 스웨덴, 그리고 일본 등 원자력 선도국들의 연구를 살펴보면, 각 국은 자국의 지리 및 지질환경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지질환경 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심층처분을 위하여 진행될 국내 장기 지질환경 진화 연구역시, 안전성 확보가 중점적으로 필요한 분야를 선정하고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한반도의 지리 및 지질환경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한반도 지질환경에 적합한 효율적인 기술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처분 관련 지질환경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고려하여야 할 한반도의 지리 및 지질환경 특성을 토의하였다. In geological disposal concept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it is necessary to assess long-term safety of a subsurface repository, which aim to provide isolation and retardation of radioactive nuclides for several tens to hundreds of years after closure. In this study, researches on tectonic and future geological evolution relating to long-term safety of a subsurface repository for HLW were reviewed. The researches by the advanced nations in terms of nuclear energy, such as Finland, Sweden and Japa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various approaches and techniques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ir own ge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the techniques to estimate the long-term geological evolution at a given site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 and several features to be considered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14770/jgsk.2020.56.5.641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20.56.5.6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