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교육의 시대: 온라인 교육을 위한 준비
2020년 1학기 코로나19 비상상황에서의 비대면 교육환경은 온라인 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대학의 지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하다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2학기에는 제2차 대유행이 예측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지난 1학기 진행한 비상대책으로서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아닌 체계적으로 잘 준비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비대면 온라인교육을 위한 기본적 요구사항으로는, 온라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수역량 강화 및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수업 개발, 각 분야 전문가와 협...
Saved in:
Published in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9(3) pp. 315 - 32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9.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09.12 |
Cover
Summary: | 2020년 1학기 코로나19 비상상황에서의 비대면 교육환경은 온라인 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대학의 지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하다보니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문제는, 코로나19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2학기에는 제2차 대유행이 예측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지난 1학기 진행한 비상대책으로서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이 아닌 체계적으로 잘 준비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비대면 온라인교육을 위한 기본적 요구사항으로는, 온라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수역량 강화 및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수업 개발, 각 분야 전문가와 협업, 온라인 환경의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안정적인 원격교육 설비의 구축과 운영, 그리고 비대면 온라인 교육 환경에 맞는 학사 정책과 규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1학기 경험을 바탕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요구사항 및 국내대학의 온라인교육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IT 강국으로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국내대학들이 온라인 교육으로 선도하는 K-Edu를 기대해본다.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emergency situation caused by COVID-19 was conducted in a state of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online education, and support from universities, which caused many trials and errors. The problem is that COVID-19 is unlikely to disappear easily, and the second pandemic is predi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refore, preparations for systematically well-prepared online classes are required, rather tha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an emergency countermeasure conducted in the last semester, which include strengthening teaching capabilities for online teaching methods and developing classes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collaborating with experts in each field, establishing, operat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online environment, establishing stable distance education facilities, and changing academic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online education environments. In this paper, implications on the requirement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last semester. In the post-Corona era, as a powerful country of the IT industry, we look forward to K-Edu, which domestic universities lead with online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online edu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063_436 |
ISSN: | 2384-101X 2672-1163 |
DOI: | 10.29056/jncist.202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