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발성 대장 선종에서 아스피린이 핵 내 β-Caten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목적: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의 사용은 대장직장암과 그 전구 병변인 대장 선종의 위험성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기전으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COX-2 억제 외에 대장 종양 발생에서 작용하는 Wnt 신호경로의 핵심 중개자인 β-catenin의핵 내 이동이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하류 표적 유전자인 cyclin D1의 발현 역시 억제되어 항종양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가 선종의 β-catenin 발현을 억제함이 보고된 바 있으나...
Saved in:
Published in | Intestinal research pp. 283 - 291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장연구학회
01.10.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100 2288-1956 |
Cover
Summary: | 목적: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의 사용은 대장직장암과 그 전구 병변인 대장 선종의 위험성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기전으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COX-2 억제 외에 대장 종양 발생에서 작용하는 Wnt 신호경로의 핵심 중개자인 β-catenin의핵 내 이동이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하류 표적 유전자인 cyclin D1의 발현 역시 억제되어 항종양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가 선종의 β-catenin 발현을 억제함이 보고된 바 있으나 산발성 대장 용종에서의 보고는아직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발성 대장 선종 환자에서 아스피린 사용이 β-catenin 신호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강원대학교병원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대장 선종을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아스피린을 12개월 이상 복용한 환자 37명과 그렇지않은 환자 37명간에 선종의 크기와 이형성의 정도 등을 포함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선종에서의 핵 내 β-catenin과 cyclin D1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아스피린의 복용 기간은 중양값 37개월이었으며 아스피린 복용군과 비복용군에서 전체적인 선종의 크기나 조직형 및 이형성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스피린 복용군의 43.2%에서 핵 내 β-catenin 발현을 보였으며 아스피린 비복용군에서는 18.9%에서 발현을 보였다(P<0.05). 핵 내 cyclin D1의 발현은 아스피린 복용군에서 78.4%, 아스피린 비복용군에서 91.9%로 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번 후향적 연구에서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발성 대장 선종에서 β-catenin의 발현이 억제되지 않았다. 따라서 아스피린의 항암효과에 대한 향후 전향적인 대규모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In addition to th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the chemopreventive effec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β-catenin has been suggested in patients with familial adenoma polypo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spirin on the 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patients with sporadic colorectal adenoma. Methods: We selected patients diagnosed with colorectal adenoma. Patients who had been taking aspirin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identified as the aspirin group, and those who did not were the non-aspirin group. Their characteristics, including size and degree of dysplasia, were compar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conducted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β-catenin and cyclin D1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edian duration of aspirin intake was 37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histological type, and degree of dysplasia between the two groups. Nuclear β-caten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43.2% of the patients in the aspirin group and in 18.9% of those in the non-aspirin group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clear cyclin D1 staining between the aspirin (78.4%) and non-aspirin (91.9%) groups. Conclusion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nuclear β-catenin expression in sporadic colorectal adenoma in the aspirin group was not inhibited compared with that in the non-aspirin group. Therefore, further prospective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are necessary. (Intest Res 2013;11:283-291)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389.2013.11.4.002 |
ISSN: | 1598-9100 2288-19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