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유의 체계 - 문학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이미지
이 논문은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이미지를 다룬 연구이다. 재래의 문학연구 방법론이 가진 이미지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미지의 역량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이미지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새롭게 하였다. 벤야민, 랑시에르, 미첼, 베르그손, 들뢰즈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열 가지 명제를 도출하였다. 1. 이미지는 개념이나 서사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유의 역량을 갖는다. 2. 이미지에는 역사적 시간의 경험이 아로새겨져 있다. 3. 이미지에는 세속적, 현실적 체험만이 아니라, 상투적인 시간을 단절하고 도래하는 메시아적, 혁명적 체험...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0(47) pp. 199 - 23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08.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47.201608.007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문학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이미지를 다룬 연구이다. 재래의 문학연구 방법론이 가진 이미지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미지의 역량이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이미지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새롭게 하였다. 벤야민, 랑시에르, 미첼, 베르그손, 들뢰즈의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열 가지 명제를 도출하였다. 1. 이미지는 개념이나 서사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유의 역량을 갖는다. 2. 이미지에는 역사적 시간의 경험이 아로새겨져 있다. 3. 이미지에는 세속적, 현실적 체험만이 아니라, 상투적인 시간을 단절하고 도래하는 메시아적, 혁명적 체험이 내재해 있다. 4. 이미지는 서로 다른 체계(문학, 회화, 영화, 음악 등)를 유사성/비유사성의 관계를 통해 정의할 수 있는 체계다. 5. 나아가 이미지는 그런 체계들의 비교와 변환, 관계의 정립과 재정립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의 역량(체계의 체계)이기도 하다. 6. 이미지는 그것이 지시하는 대상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대상과 일치하기도 하고(우상숭배), 대상과 관련된 사물이 되기도 하며(페티시), 대상에 대한 표상(토템)이 되기도 한다. 7. 이미지가 대상과 맺는 세 가지 관계를 통해서 수사학적 세계관을 검토할 수 있다. 8. 이미지는 변화하는 세계 자체이자, 그 세계와 작용하고 반작용하는 주체 자신이기도 하다. 9. 이미지를 통해 주체와 객체가 관계하는 세 가지 양상(지각, 행동, 정념)을 탐색할 수 있다. 10. 이미지를 낳는 특별한 응축의 패턴이 리듬이므로, 이미지는 궁극적으로 리듬과 통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시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의 예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후에도 추가적인 검증과 예시를 통해서 이미지의 역량을 증언하고 그 실례를 살펴나가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 as a methodology of literary studies.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image are re-established to maximize its capacity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age theories found in traditional research. Based on the discussions of Benjamin, Rancière, Mitchell, Bergson and Deleuze, this study derived ten propositions. 1. The image has the capacity for new thoughts that replace concepts or narratives. 2. The image is inscribed with the experience of historical time. 3. The image contains both secular, realistic experiences and messianic, revolutionary experiences that depart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ime. 4. The image is a system that can define other systems (literature, painting, film, music, etc.) based on similarity/dissimilarity relationships. 5. Furthermore, the image is the competency of a system that enables the comparison and conversion of such systems, and the establishment and re-establishment of their relationships. 6. The image forms various relationships with its referent. It can match the referent (idolatry), become an object related to the referent (fetish), or become a representation of the referent (totem). 7. The rhetorical worldview can be examined through the three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the image and the referent. 8. The image is the changing world itself, as well as an agent reacting with the world. 9. The three forms (perception, action, affection) related to the subject and object can be explored through the image. 10. The image can ultimately be integrated with rhythm, which is the pattern of special condensation that gives birth to the image. This study compared poems and non-literary texts, and seeks to employ further examples to support the propositions. KCI Citation Count: 22 |
---|---|
Bibliography: | G704-001014.2016..47.007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47.201608.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