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이유와 충동성의 조절효과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은 취업난에 따른 치열한 경쟁,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고,대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불안, 우울 및 약물남용, 인터넷 중독, 자살과 같은 심각한 문제의 원인이 될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관계에서 삶의 이유와 충동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소재 대학생 608명을 대상으로스트레스, 자살생각, 삶의 이유, 충동성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pp. 103 - 11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9.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6.24.3.103 |
Cover
Summary: |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은 취업난에 따른 치열한 경쟁,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고,대학생 시기에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불안, 우울 및 약물남용, 인터넷 중독, 자살과 같은 심각한 문제의 원인이 될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관계에서 삶의 이유와 충동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소재 대학생 608명을 대상으로스트레스, 자살생각, 삶의 이유, 충동성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교차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와 충동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를 경험한 대학생들의 삶의 이유를 증가시킴으로써 자살생각을 낮출 수 있는 개입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대학생의자살행동에서 충동성 문제를 주의 깊게 다룰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reasons for living between stress and suicidal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08 college students and subjects completed a test of stress,reasons for living, Impulsivity, suicidal ide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lat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The results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suicidal ideation. Second, reasons forliving, Impulsivit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todevelop comprehensive suicidal prevention program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Korean J Stress Res 2016;24:103∼113) KCI Citation Count: 23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6.24.3.001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6.24.3.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