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지역 알츠하이머병 노인에서 Apolipoprotein E ε4와 인지변화의 연관에 대한 전향적 연구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이하 AD)은 오늘날 치매의 주된 원인이고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커다란 사회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1) Apolipoprotein E(이하 APOE)는 ε2, ε3, ε4의 세 가지 주된 대립유전자들 중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6가지 유전형으로 구성되며 이들 유전자의 발현 빈도는 인구 집단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그 중 ε4는 APOE의 신경세포 보호기능 정도가 낮아서 신경세포의 퇴행 방지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AD의 경...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pp. 104 - 110
Main Authors 강민성, 문석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생물정신의학회 01.08.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870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이하 AD)은 오늘날 치매의 주된 원인이고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커다란 사회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1) Apolipoprotein E(이하 APOE)는 ε2, ε3, ε4의 세 가지 주된 대립유전자들 중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6가지 유전형으로 구성되며 이들 유전자의 발현 빈도는 인구 집단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그 중 ε4는 APOE의 신경세포 보호기능 정도가 낮아서 신경세포의 퇴행 방지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AD의 경우 ε4 대립유전자 빈도는 40% 정도로 정상에 비하여 약 3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7)APOE ε4 대립유전자는 연령과 더불어서 만발성(late onset) AD의 가장 높은 위험인자 중 하나이고 치매의 발병 연령에도 영향을 미치며 동형접합체(homozyote)일 경우의 평균 발병연령이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일 경우에서보다 10년 정도 이르게 발병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또한 ε4 대립유전자는 AD와 더불어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의 위험인자로도 알려져 있다.9)국내 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의심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APOE ε4 대립유전자 유무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연구에서 75세 이하인 대상군에서 APOE ε4 양성군에서단어목록회상 검사의 수행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10)그러나 이 연구는 횡단면적 연구여서 ε4의 전향적인 효과에대한 평가는 어려웠다. 또한 AD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아직도 확실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으며11) ε4 대립유전자가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와 신경섬유농축체(neurofibrillary tangle)를 축적시키는 생화학적 기전을 통하여 인지 저하를 빠르게 한다는 제안이 있으나12) 이 또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AD 환자들에서의 APOE ε4 대립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횡단면적인 연구에 그치고 인지기능의 감퇴 속도에 대한의견도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APOE ε4 대립유전자와 관련되어 국내에서 진행된 전향적 연구는 거의 없는상태여서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사회 AD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APOE ε4 대립유전자의 발현 여부에 따라 인지기능의 저하 정도나 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인지 영역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위한 전향적인 연구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impact of the apolipoprotein E (APOE) ε4 on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AD). Methods :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0 (12 men and 18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AD from a Korean project of “Early Detection of Dementia”. People aged 65-85 ye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eight neuropsychological domains from 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of Alzheimer’s Disease (CERAD-K) were conducted to test subjects. They have been followed at 24-month intervals with the same assessments at each interval. Their cognitive performance at 2 year intervals was compared by the occurrence of the APOE ε4. Results : The impact of ε4 allele was significant in the Word List Memory Test (WLMT, F = 4.345, df = 1, p = 0.021) and Word List Recall Test (WLRT, F = 5.569, df = 1, p = 0.033). Conclusions : The APOE ε4 alle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especially with verbal episodic memory domai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diagnosed with A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487.2013.20.3.007
ISSN:1225-8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