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병변에 대한 맘모톰 생검후 삽입하는 새로운 금속 위치 표지자에 대한 초기 경험
목적 : 유방병변에 대한 맘모톰 생검후 삽입하는 새로운 위치표지자의 유용성과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맘모톰 생검 후 사용하는, 금세선으로 만든 새로운 위치표지자와 유도자를 개발하였다. 7마리의 잡견과 22명의 환자에게 이 표지자를 삽입하였다. 모든 잡견과 수술을 시행한 4명의 환자에서 병리학적 조직 반응을 관찰 하였다. 수술을 시행 하지 않은 경우 6개월까지 유방촬영술과 초음파로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과 위치변화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잡견 3마리에서 이물 반응이 없었고...
Saved in:
Published in | Ultrasonography (Seoul, Korea) pp. 223 - 232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초음파의학회
01.12.200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5919 2288-5943 |
Cover
Summary: | 목적 : 유방병변에 대한 맘모톰 생검후 삽입하는 새로운 위치표지자의 유용성과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 맘모톰 생검 후 사용하는, 금세선으로 만든 새로운 위치표지자와 유도자를 개발하였다. 7마리의 잡견과 22명의 환자에게 이 표지자를 삽입하였다. 모든 잡견과 수술을 시행한 4명의 환자에서 병리학적 조직 반응을 관찰 하였다. 수술을 시행 하지 않은 경우 6개월까지 유방촬영술과 초음파로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과 위치변화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잡견 3마리에서 이물 반응이 없었고 3마리에서 경미한 이물 반응을, 1마리에서 중등도의 이물반응을 보였다.
환자 22예 중 17예(77.3%)에서 초음파 유도하에 성공적으로 표지자를 삽입할 수 있었다.
수술이 시행되었던 악성 4예 모두에서 이물 반응은 경미하였다. 양성으로 진단된 나머지 13예 중 1개월 유방촬영술과 초음파로 추적검사가 12예에서 가능하였는데, 8예(66.7%)에서 장경 8-23 mm크기의 혈종이 있었고 이중 4예에서 표지자의 방향변화가, 1예에서 방향변
화 및 1 cm정도의 위치 변화가 있었다. 6개월 추적검사는 9예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든 예에서 초음파상 혈종이 사라졌으며, 1달이내의 추적검사와 비교한 유방촬영상 표지자의 위치 변화를 보인 예는 없었다. 동통, 염증반응 등의 합병증을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 금세선으로 만든 새로운 표지자는 이물반응이 적고 심각한 위치변화의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usefulness and complications of a newly made metallic tissue marker inserted after mammotome biopsy of breast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 We manufactured a new gold tissue marker and introducer for the insertion after ultrasound- guided mammotome biopsy for breast lesions. The new tissue marker was inserted to 7 dogs and 22 patients.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evaluated in all dogs and patients with malignant diseases who underwent surgery. Follow-up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were performed in patients with benign diseases 6 months after the biopsy for the evaluation of complications including migration.
RESULTS : In dogs, there was no foreign body reaction in 3 dogs, mild foreign body reactions in 3 dogs, and moderate foreign body reactions in one dog.
Meanwhile, the marker was successfully inserted in 17 (77.3%) of 22 patients under ultrasonography-guidance.
There were mild foreign body reactions in 4 patients with malignant diseases. On one month follow-up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in 12 of 13 patients with benign diseases with the successful marker insertion
showed hematoma with the size ranging from 8 to 23 mm in 8 patients (66.7%). Rotation of the marker without any change of location was seen in 4 patients while rotation with the changed location, about 1cm in distance,
was seen in 1 patient. On six month follow-up ultrasongraphy performed in 9 patients showed the disappearance of all hematomas. There was no change of the marker’s location on mammography compared to the one-month follow-up mammography. Pain or inflammatory reaction was not noted in any patient.
CONCLUSION : This new gold post-mammotome tissue marker showed mild foreign body reaction and no significant complication including migration. It will be very useful in routine practice of mammotome for breast lesion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03.2003.22.4.004 |
ISSN: | 2288-5919 2288-59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