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관련 근병증과 비특이성 안근염에서의안와지방과 외안근 밀도의 비교
목적: 갑상샘관련 근병증과 비특이성 안근염, 그리고 정상안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안와 컴퓨터 단층촬영상에서 안와지방과 외안근밀도를 정량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본원에서 진단받은 갑상샘눈병증 중 갑상샘관련 근병증이 있는 환자 47명 90안, 비특이성 안근염 환자 14명 18안, 10-70대 정상인 140명 280안을 대상으로 안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하여 안와지방과 외안근 밀도를Hounsfield Unit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갑상샘관련 근병증 환자군과 정상인군과의 연령별 비교...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pp. 1641 - 1648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11.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갑상샘관련 근병증과 비특이성 안근염, 그리고 정상안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안와 컴퓨터 단층촬영상에서 안와지방과 외안근밀도를 정량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5년 2월부터 2013년 1월까지 본원에서 진단받은 갑상샘눈병증 중 갑상샘관련 근병증이 있는 환자 47명 90안, 비특이성 안근염 환자 14명 18안, 10-70대 정상인 140명 280안을 대상으로 안와 컴퓨터 단층촬영을 하여 안와지방과 외안근 밀도를Hounsfield Unit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갑상샘관련 근병증 환자군과 정상인군과의 연령별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갑상샘관련근병증에서의 임상활동도 점수, 안구돌출 유무, 그리고 유병기간에 따른 밀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갑상샘관련 근병증의 안와지방과 외안근의 밀도는 -87.8 ± 12.5 HU, 48.7 ± 7.1 HU였고 비특이성 안근염에서는 각각 -79.9± 9.9 HU, 49.2 ± 9.1 HU로 나타나 갑상샘관련 근병증에서 안와지방의 밀도가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p=0.002) 외안근의밀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75). 정상인의 안와지방과 외안근의 밀도는 각각 -79.0 ± 11.2 HU, 54.3± 6.3 HU로 측정되어 정상인보다 갑상샘관련 근병증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00). 갑상샘관련 근병증의 임상활동도 점수가 4 이상 활동성인 경우와 안구돌출이 동반된 경우 안와지방 밀도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p=0.345, p=0.952), 외안근의밀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7, p=0.003).
결론: 안와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얻어지는 Hounsfield Unit를 통해 갑상샘관련 근병증과 비특이성 안근염의 안와지방 및 외안근의 밀도차이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perform and compar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thyroid-associated myopathy, idiopathic orbital myositis and normal controls based on orbital computed tomography.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were quantified using Hounsfield Unit (HU)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Methods: From February 2005 to January 2013, orbital computed tomography was performed on 90 eyes of 47 thyroid-associated myopathy patients, 18 eyes of 14 idiopathic orbital myositis patients and 280 eyes of 140 normal subjects.
The average values of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using HU. The density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s with thyroid-associated myopathy and the normal group were analyzed by age, clinical activity score, ocular protrusion and disease duration.
Results: In the thyroid-associated myopathy group,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were -87.8 ± 12.5 HU and 48.7 ± 7.1 HU, respectively. In the idiopathic orbital myositis group, the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were 79.9 ± 9.9 HU and 49.2 ± 9.1 HU, respective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result of orbital fat in the thyroid-associated myopathy group (p = 0.002), however, the extraocular muscle dens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775). The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of the normal group were -79.0 ± 11.2 HU and 54.3 ± 6.3 HU,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results in both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in the thyroid-associated myopathy group than normal group (p = 0.000). In active cases and those accompanied by ocular protr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bital fat density (p = 0.345 and p = 0.952, respectively), while extraocular muscle density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7 and p = 0.003, respectively).
Conclusions: A difference between the orbital fat and extraocular muscle densities in thyroid-associated myopathy and idiopathic orbital myositis could be quantitatively found using HU and orbital computed tomograph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3.54.11.014 http://dx.doi.org/10.3341/jkos.2013.54.11.1641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