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자궁근종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이후 발생한 심부 2도 화상: 증례 보고

자기공명영상으로 인한 열손상 및 화상은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케이블을 가진 의료기기나 화장품, 문신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거대 자궁근종을 포함한 다발성자궁근종을 가진 38세 여자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 후에 발생한 심부 2도 화상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후향적으로분석하였을 때 환자는 전복벽의 돌출부위와 코일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화상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피하기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 검사 때에 열손상과 관련된 내용들을 인지하고 충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pp. 424 - 427
Main Authors 이철민, 강보경, 송순영, 고병희, 최중섭, 이원무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영상의학회 0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5.73.6.4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자기공명영상으로 인한 열손상 및 화상은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케이블을 가진 의료기기나 화장품, 문신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보고가 없다. 저자들은 거대 자궁근종을 포함한 다발성자궁근종을 가진 38세 여자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 검사 후에 발생한 심부 2도 화상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후향적으로분석하였을 때 환자는 전복벽의 돌출부위와 코일이 직접 접촉하게 되어 화상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피하기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 검사 때에 열손상과 관련된 내용들을 인지하고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Burns and thermal injuries relat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re rare. Previous literature indicates that medical devices with cable, cosmetics or tattoo are known as risk factors for burns and thermal injuries. However, there is no report of MRI-related burns in Korea. Herein, we reported a case of deep second degree burn after MRI in a 38-year-old female patient with multiple uterine leiomyomas including some that were large and degenerated. The large uterine leiomyoma-induced protruded anterior abdominal wall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coil during MRI was suspected as the cause of injury, by retrospective analysis. Therefore, awareness of MRI related thermal injury is necessary to prevent this hazard, together with extreme care during MRI.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499.2015.73.6.013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5.73.6.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