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염색체 이상과 면역 표현형의 임상적 중요성

목적 : 저자들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있어 염색체 이상의 빈도 및 예후와 면역표현형의 임상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내과를 방문하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 받은 68예를 대상으로 염색체 및 면역표현형 분석과 혈액학적, 임상적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중 47예에서 관해유도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염색체 예후군에 따라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결과 : 염색체 이상은 핵형의 유형에 따라 t (8;21), t (15;17) 및 inv (16)을 예후양호군 (...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p. 2 - 616
Main Authors 공옥녀, 정종윤, 이경우, 이정현, 정주섭, 이은엽, 조군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내과학회 01.06.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9364
2289-07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저자들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있어 염색체 이상의 빈도 및 예후와 면역표현형의 임상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내과를 방문하여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 받은 68예를 대상으로 염색체 및 면역표현형 분석과 혈액학적, 임상적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중 47예에서 관해유도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염색체 예후군에 따라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결과 : 염색체 이상은 핵형의 유형에 따라 t (8;21), t (15;17) 및 inv (16)을 예후양호군 (n=19, 28%), -5, del (5q), -7, der (1;7), 3q 이상 및 3개 이상의 클론성 이상이 갖는 복합성 핵형 (complex karyotype)을 예후불량군 (n=11, 16%), 정상 염색체 및 기타 염색체 이상을 중간위험군 (n=38, 56%)의 세 군으로 구분하였다.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56% (38/68)였으며 관해유도 치료군에 있어 전체 완전 관해율은 64%였다. 예후양호군, 중간위험군 및 예후불량군의 완전 관해율은 각각 88%, 59% 및 44%였다 (p=0.021).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7개월이었으며 예후불량군 및 중간위험군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개월 및 6개월이었다. 예후양호군에서는 생존기간 중앙값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 (p=0.008). 또한 5년 생존율은 38%였으며 예후양호군, 중간위험군 및 예후불량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8%, 31% 및 9%였다 (p=0.009). CD7, CD14, CD33, CD34 및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의 표현 여부는 완전 관해율 및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다변수 분석에서 연령 및 염색체 이상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cidence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as well as clinical significance of immuno phenotype in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Methods : The chromosomal abnormalities, immunophenotype and their hematologic/clinical correlations were studied in 68 patients with de novo AML admit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0. 47 of 68 patients had received induction chemotherapy and we analysed the response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karyotype pattern and immunophenotype. Results : The karyotypic patter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avorable (t (8;21), t (15;17) and inv (16); n=19, 28%), poor (-5, del (5q), -7, der (1;7), abn (3q) and complex karyotypes; n=11, 16%) and intermediate group (other abnormalities or normal karyotype; n=38, 56%).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was 56% (38/68) and overall complete remission (CR) rate of 47 evaluable patients was 64%. The CR rates of favorable, intermediate and poor groups were 88%, 59% and 44%, respectively (p=0.021).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patients was 7 months, those of poor and intermediate groups being 2 months and 6 month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favorable group was not reached (p=0.008). The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was 38% and those of favorable, intermediate and poor groups were 68%, 31% and 9%, respectively (p=0.009). Expression of CD7, CD14, CD33, CD34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had no impact on CR rate and overall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is, both age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influence significantly on prognosis. Conclusion : Cytogenetic study is important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AML. And the treatment must be tailo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ytogenetics such as this study.(Korean J Med 62:608-616, 2002)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582.2002.62.6.003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