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설사 환자에서 대장내시경 과정 중에 얻은 생검 조직 및 장액을 이용한 원인균의 분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설사로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대장 점막 병변을 관찰하고, 대장내시경 과정 중에 얻은 생검 조직과 장액으로 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대장내시경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3월부터 8월까지 14일 이내의 수성 또는 혈성 설사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염증성 장질환, 방사선성 대장염, 허혈성 대장염 및 위막성 대장염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재 임상적으로 의심된 환자를 제외한 41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Saved in:
Published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pp. 2 - 633 |
---|---|
Main Authors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내과학회
01.12.200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9364 2289-0769 |
Cover
Summary: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 설사로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대장 점막 병변을 관찰하고, 대장내시경 과정 중에 얻은 생검 조직과 장액으로 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대장내시경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3월부터 8월까지 14일 이내의 수성 또는 혈성 설사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염증성 장질환, 방사선성 대장염, 허혈성 대장염 및 위막성 대장염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재 임상적으로 의심된 환자를 제외한 41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범위와 중증도를 관찰하고, 생검 조직을 얻고 장액을 흡입하여 세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다.결과 : 환자의 남녀비는 22:19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 20세였다. 대장내시경상 병변의 범위는 정상 소견을 보인 경우가 5예(12.2%)이었으며, 상행, 횡행, 하행, S상 결장 및 직장으로 나누어 표시하였을 때 한 부위만 침범한 경우가 3예(7.3%), 두 부위 이상을 침범한 경우가 14예(34.1%), 전 대장을 침범한 경우가 10예(24.4%), 전 대장을 침범하면서 회장 말단까지 침범한 경우가 9예(21.2%) 있었다. 배양 검사 상 한 가지 이상의 세균이 검출된 경우가 19예(46.3%)였으며, 검출된 세균은 Enterobacter (11예), Salmonella 속(6예), Citrobacter freundii complex (2예), Klebsiella oxytoca (2예), Morganella morganii (1예)이었다. 세균이 자란 경우는 대변이 11.8%, 생검 조직이 46.2%, 장액이 62.5%로 생검 조직과 장액 배양 검사가 대변 배양 검사보다 세균의 검출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대변 배양 검사가 생검 조직이나 장액 배양 검사와의 연관성이 낮았다.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colonoscopy for assessment of colonic mucosal lesions and for microbial identification in patients with acute diarrhea.
Methods : From March 2000 to August 2000, forty-one patients with watery or bloody diarrhea lasting less than 15 days were participated after the exclusion of patients who had previous history or presumpt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radiation colitis, ischemic colitis, or pseudomembranous colitis. Both biopsy specimens and colonic luminal fluid were taken during the colonoscopy and used for bacterial cultures.
Results : Male and female ratio was 22:19 and mean age was 45±20 years. The extent of acute colitis was as followed: the normal colonoscopic finding in five cases (12.2%), involvement of one segment in 3 cases (7.3%), involvement of two or more segments in 14 cases (34.1%), pancolitis in 10 cases (24.4%) and pancolitis with terminal ileitis in 9 cases (22.0%). In culture study, identification of more than one pathogen was in 19/41 (46.3%) and the common pathogens were Enterobacter (11 cases), Salmonella species (6 cases), Citrobacter freundii complex (2 cases), Klebsiella oxytoca (2 cases) and Morganella morganii (1 case). Pathogen could be identified in 11.8% with stool specimen, 46.2% with biopsy specimen and 62.5% with intraluminal fluid,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Colonoscopy was useful in the evaluation of extent and severity of acute infectious colitis. Obtaining the biopsy specimens and intraluminal fluid during colonoscopy seemed to assist in identifying the pathogen in patients with acute diarrhea.(Korean J Med 63:625-633, 2002)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582.2002.63.6.005 |
ISSN: | 1738-9364 2289-07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