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모배양물 첨가 사료가 계사내 유해가스 발생 및 육계의생산성에 미치는 영향level than the control (P<0.05).chonbuk.ac.kr

본 연구는 효모배양물을 육계에 수준별로 급여하여 두 차례의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처리구는 사료내 효모배양물 수준을 0, 0.1, 0.2, 0.4%로서 전체 4개의 처리구를 두었다. 실험 1에서는 처리구당 60수씩 총 240수를 환경조절형 계사에 수용하였으며, 계사내 유해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로 80수씩 전체 320수를 이용하였으며,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의 변화, 혈중 콜레스테롤 및 ND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사육 전기 3주간에 급여된 사료의 조단백질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pp. 41 - 48
Main Authors 박재홍, 류명선, 김상호, 나종삼, 김종승, 류경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축산학회 01.02.200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2-0191
2093-62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효모배양물을 육계에 수준별로 급여하여 두 차례의 사양실험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처리구는 사료내 효모배양물 수준을 0, 0.1, 0.2, 0.4%로서 전체 4개의 처리구를 두었다. 실험 1에서는 처리구당 60수씩 총 240수를 환경조절형 계사에 수용하였으며, 계사내 유해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로 80수씩 전체 320수를 이용하였으며, 육계의 생산성, 장내 미생물의 변화, 혈중 콜레스테롤 및 ND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사육 전기 3주간에 급여된 사료의 조단백질과 에너지 수준은 각각 21.5%, ME 3,100kcal/kg으로 하였으며 후기 2주에는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실험 1에서 효모배양물을 수준별로 급여시 0.4% 급여구에서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이산화탄소는 모든 효모배양물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실험 2에서 증체량은 효모배양물 0.2%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사료섭취량 또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효모배양물 0.2%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효모배양물의 급여가 육계의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0.1, 0.2% 급여구에서 회장의 E. coli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맹장의 Latobacillus는 0.1% 급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0.1% 급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LDL-cholesterol 함량은 효모배양물 0.1%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ND 항체가는 효모배양물의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본 연구의 결과, 육계 사료에 효모배양물의 급여로 계사내 유해가스를 감소하였으며, 사료요구율이 개선되었다. 그리고 장내 미생물과 콜레스테롤 수준에서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east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and noxious gas emission in broiler houses. Two hundred forty and three hundred and twenty, one day old Cobb male broiler chicks in Expt 1 and Expt 2, respectively were alloted to four treatment levels of yeast culture (0, 0.1, 0.2, 0.4%). To each treatment, 60 birds were assigned in Expt 1 and 5 replicates of 16 birds each were assigned in Expt 2. Basal diets contained 21.5% and 19.0% CP, and 3,100kcal/kg ME for the starting and finishing periods, respectively. Ammonia and CO2 gas emission were detected twice a day for seven days during the five week period of Expt 1.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measured for five weeks in Expt 2. Intestinal microbes, blood cholesterol and ND antibody titer were examined at the end of Expt 2.In Expt 1, the concentration of NH3 in the house of birds fed yeast culture tended to be lower than the control.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0.4% yeast culture treatment than the control (P<0.05). CO2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yeast culture treatments regardless of its dietary supplemental level than the control (P<0.05).In Expt 2, weight gain of birds fed 0.2% yeast culture tended to be higher, but not significantly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216.2003.45.1.002
ISSN:2672-0191
2093-6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