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 전자간 골절 후 발생한정맥혈전색전증과 표재대퇴동맥 패색증- 증례 보고

고관절 주위 골절은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수상 및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혈전색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과거력 상 폐색전증을 진단받았으나 추시 소실 되었던 환자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발생한 후 폐색전증이 재발 하였고 항응고제를 이용하여 치료 하였다. 수상 18일 후 고관절 반치환술과 대전자 고정을 위한 갈고리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다음날 정맥 혈전색전증 및 표재 대퇴동맥 패색증이 발생하였고 이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ip & pelvis pp. 301 - 305
Main Authors 김종관, 김상민, 안병우, 강승훈, 한계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고관절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3260
2287-3279
DOI10.5371/hp.2013.25.4.3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고관절 주위 골절은 노년층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고 수상 및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혈전색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원에서는 과거력 상 폐색전증을 진단받았으나 추시 소실 되었던 환자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발생한 후 폐색전증이 재발 하였고 항응고제를 이용하여 치료 하였다. 수상 18일 후 고관절 반치환술과 대전자 고정을 위한 갈고리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다음날 정맥 혈전색전증 및 표재 대퇴동맥 패색증이 발생하였고 이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occurrence of hip fractures has shown a rapid increase, and posttraumaticand postoperative venous thromboembolism can lead to fatal complications. Current prophylactic managementincludes mechanical and chemical prophylaxis. A 76-year-oldfemale, who was lost to follow-up after diagnosisof pulmonary thromboembolism four years ago, was admitted to our emergency room for a rightintertrochanteric fracture. Before the operation, the thromboembolism recurred and was treated withanticoagulation medication. Bipolar hemiarthroplasty and fixation of the greater trochanter with a hook platewere performed 18 days after the trauma. Superficial femoral artery obstruction and venous thromboembolismoccurred on the first day after the oper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551.2013.25.4.005
ISSN:2287-3260
2287-3279
DOI:10.5371/hp.2013.25.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