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발명교육 연구 동향

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발명교육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3월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발명교육 연구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NetMiner 분석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발명교육 연구의 게재 현황 분석, 발명교육 연구 키워드의 출현빈도 및 동시 출현빈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술지의 발명교육 연구 게재 현황 분석결과 발명교육 연구는 새로운 정책이 고시되거나 교육...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24(1) pp. 116 - 126
Main Authors 정다혜, 최유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교과교육연구소 01.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20.24.1.11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발명교육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9년 3월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발명교육 연구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NetMiner 분석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발명교육 연구의 게재 현황 분석, 발명교육 연구 키워드의 출현빈도 및 동시 출현빈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학술지의 발명교육 연구 게재 현황 분석결과 발명교육 연구는 새로운 정책이 고시되거나 교육현장에 적용되는 시기에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발명교육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와 연계하여 주로 이루어짐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발명교육 연구 키워드의 출현빈도 분석결과 발명교육 연구는 ‘발명영재교육 분야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를 대상으로 창의성 관련 프로그램 또는 발명에 대한 태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동시 출현빈도 분석결과는 키워드 간의 연결을 파악함으로써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해석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셋째, 키워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결과 ‘발명영재’, ‘초등학교’, ‘창의성’, ‘프로그램’, ‘발명영재교육’은 출현빈도뿐만 아니라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도 높은 키워드로 나타났다. 해당 키워드는 발명교육 연구에서 여러 키워드와 함께 연구 키워드로 자주 등장하며 활발히 진행되는 연구주제로 향후 발명교육 연구에서도 꾸준히 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using a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and studies of invention education. To this end, the NetMiner analysis tool was used for the keywords of invention education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March 2019.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resent situation of publication of invention education studies in domestic journals, it is expected that invention education studies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when a new policy is announced or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occurrence frequency of keywords of invention education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invention education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on ‘invention b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subject of ‘creativity-related programs or attitudes toward inventions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Third, when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 networks was analyzed, ‘gifted talents in invention’, ‘elementary School’, ‘creativity’, ‘program’, and ‘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were identified a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s not only in the occurrence frequency but also the degree of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 relevant keywords frequently appear in invention education studies as study keywords together with many other keywords and are expected to frequently appear in future intervention studies as they are one of the most active study subjects. KCI Citation Count: 2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