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경력몰입의 조절효과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방법 : 현재 3 개의 국립 병원에서 일하는 205 명의 간호사가 작성한 구조화 된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ANOVA, Scheffé 검정, Pearson 상관 계수,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각 변수의 평균 점수는 직무열의 3.77점(7 점 척도), 조직시민행동 3.41점(5 점 척도), 경력몰입 3.05점(5 점 척도)이었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pp. 167 - 174
Main Authors 송은정, 김미정, 고명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간호행정학회 01.06.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330
2288-4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조사하는데 있다. 방법 : 현재 3 개의 국립 병원에서 일하는 205 명의 간호사가 작성한 구조화 된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ANOVA, Scheffé 검정, Pearson 상관 계수,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 각 변수의 평균 점수는 직무열의 3.77점(7 점 척도), 조직시민행동 3.41점(5 점 척도), 경력몰입 3.05점(5 점 척도)이었다. 그 결과, 모든 연구 변수가 연령에 따라 높았으며 조직시민행동은 총 임상 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더 높았다. 총 임상 경력, 직무열의와 경력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경력몰입은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 변수들은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총 설명력이 38 %였다. 결론 : 간호사의 직무열의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경력몰입은 직무열의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력몰입이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 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W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behaviors (OCB) and ability to control career commitment (C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OCB.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05 nurses currently workingat three national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Mean scores for eachvariable were: WE 3.77 (on a 7-point scale), OCB 3.41 (on a 5-point scale), and CC 3.05 (on a 5-point scale). As aresult, comparison showed that all research variables were higher with age, OCB was higher with total clinical career,and CC was higher with higher education level. Total clinical career, WE and C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CB, andCC had a moderate effect on work engagement and OCB. These variables had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38% forOCB. Conclusion: The nurses' WE had a positive effect on OCB, and the CC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 and OCB. Therefore, we suggest that CC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nurses' OCB.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