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구조모형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직 · 간접적 관계와 영향력을 검정함으로써 부정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고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양육효능감, 양육행동 4개의 변수를 주요개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 아동 관련변인(성별, 연령), 모성 관련변인(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완벽주의), 가정 관련변인(가족월수입)을 포함하여 이러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p. 111 - 119
Main Authors 윤지원, 조헌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아동간호학회 01.04.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9110
2287-91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직 · 간접적 관계와 영향력을 검정함으로써 부정적 양육행동을 예방하고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양육효능감, 양육행동 4개의 변수를 주요개념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으로 아동 관련변인(성별, 연령), 모성 관련변인(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완벽주의), 가정 관련변인(가족월수입)을 포함하여 이러한 개념들과 4개의 주요개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양육행동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을 12.5% 설명하였고 그 중 양육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고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양육행동 관련 변수들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모성 관련변인 중 자기 지향적 완벽성과 가정 관련변인 중 가족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하는 주요 변인은 양육효눙감임이 확인되었고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자기 지향적 완벽성, 가족월수입도 고려해야 할 영향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효능감 증진과 양육스트레스 감소 뿐 아니라 어머니의 성격적 특성과 현실적인 보육료 부담을 고려한 양육프로그램이 미취학 아동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build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that could be used to explain and predict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8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AMOS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programs. Results: Parenting stress showe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satisfaction. Parenting efficacy showe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Income and mother’s perfectionism had an impact on parenting behavior. Conclus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emphasize increasing parenting efficacy in order to increas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KCI Citation Count: 12
Bibliography:G704-001009.2011.17.2.006
ISSN:2287-9110
2287-9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