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과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인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동의 적응유연성은 남자일수록, 친구관계가 좋고 친구 수가 많을수록, 학교성적이 좋고 학교생활이 즐거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적응유연성이 높았으며, 적응유연성이 낮은 아동이 문제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p. 174 - 180
Main Authors 윤현정, 유일영, 오의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아동간호학회 01.07.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9110
2287-912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인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행동,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동의 적응유연성은 남자일수록, 친구관계가 좋고 친구 수가 많을수록, 학교성적이 좋고 학교생활이 즐거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적응유연성이 높았으며, 적응유연성이 낮은 아동이 문제행동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behavior problems and resilience of school age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31 children enrolled in the 4th to 6th grade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6, 2010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of Youth Self-Report, and Resil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according to gender, relationship with peer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bonding attitud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blem behavior in the childre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interventions focusing on parenting attitude to enhance resilience should be developed to help school age children. KCI Citation Count: 10
Bibliography:G704-001009.2011.17.3.002
ISSN:2287-9110
2287-9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