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한국학의 현지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성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의 성과 사례 분석을 통해 해외한국학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지화 양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여러 양상과 성과, 전망에 관해 일관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 한국학의 의미에 관한 합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여러 시기와 관점에 따라 사용되는 한국학 개념을 살핀 다음 국학/본국학 개념은 배제할 수 있고 조선학/고려학/코리아학 등의 유사 용어 사용 또한 필요하지 않음을...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 42(1) pp. 283 - 30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중앙연구원
01.03.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42.1.201903.283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의 성과 사례 분석을 통해 해외한국학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지화 양상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여러 양상과 성과, 전망에 관해 일관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 한국학의 의미에 관한 합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여러 시기와 관점에 따라 사용되는 한국학 개념을 살핀 다음 국학/본국학 개념은 배제할 수 있고 조선학/고려학/코리아학 등의 유사 용어 사용 또한 필요하지 않음을 보였다.
다음, 본고에서 사용하는 한국학 개념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해외한국학 개념을 재규정하였다. 여기서 해외는 단순히 장소나 연구자의 국적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고 한국학의 객체화가 본질적인 요인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해외한국학은 한국학을 객체화(타자화)함으로써 기존 지식의 재해석과 변용이 가능하고 새로운 지식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문적 실천으로 재의미화 하였다.
또, 해외한국학의 다양한 양상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으로 ‘현지화’를 제시하였다. 현지화는 해외한국학의 교육과 연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며 궁극적으로 각 지역의 교육제도 안에 지속가능한 학문 활동으로 정착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현지화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 있어 지속성, 다양성, 자율성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성과 사례에 나타나는 한국학의 현지화 양상을 지속성, 다양성, 자율성 범주를 활용해 기술하였다. This research aims analysis of the achievement cases of ‘AKS SEED Project’ to describe the feature of localization which appeared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conclusions in this paper.
First, an agreement on the concept of ‘한국학/ Korean studies’ is necessary to have a consistent discussion on various features, results, and prospects of world wide education and research about Korea. Second, in this paper, ‘해외한국학/overseas Korean studies’ is re‒defined as a new academic practice to develop new knowledge on Korea after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ing of existing knowledges. Third, localization was suggested as a concept to describe the diverse feature of ‘해외한국학/overseas Korean studies’. Continuity, variety, and autonomy are three classes for description of the features of overseas Korean studies. Fourth, the feature of localization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 the result cases of ‘AKS SEED Project’ was described in the frame of the three classes above.
All of these discussion aims to provide an idea for integration and evaluation of various overseas Korean studies in the world and to dedicate its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671-8197 2733-936X |
DOI: | 10.25024/ksq.42.1.201903.2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