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서비스업 구성원의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목적: 본 연구는 뷰티샵의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 뷰티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영층지원, 교육및 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고,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영층지원과 보상제도로...
Saved in:
Published in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6(4) pp. 555 - 56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1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18.0252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뷰티샵의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서울과 경기지역 뷰티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경영층지원, 교육및 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고, 내부마케팅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영층지원과 보상제도로 나타났다. 뷰티샵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이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영층지원, 권한위임, 교육 및 훈련, 보상제도, 내부커뮤니케이션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샵에서 구성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객지 향성을 높이기 위한 매개변수임을 증명하였다. 결론: 결과적으로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의 매개변수이며 직무만족은 내부마케팅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고객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 왜 내부마케팅에 대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하 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f beauty shops on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ethods: A survey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the beauty industry was conducted in January 2018 in Seoul and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program was utilized for this study. Results: Management support, education and training,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the internal marketing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ttributes that influenced customer orientation were management support and the compensation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employee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encouraged customer orientation in beauty shop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was observed to be induced by the features of management support, delegation of authority, education and training, the compensation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The authors of this paper were able to determine that job satisfaction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beauty shop employees, and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at job satisfaction is a mediating variable that can increase customer orientation. Conclusion: Employee job satisfaction is a mediating variable that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in beauty personnel and this emotion of professional fulfillment is influenced by internal marketing factors. The outcomes of this investigation will help to explain why internal marketing efforts must first be undertaken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20402/ajbc.2018.0252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18.02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