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Tranexamic Acid의 관절 내도포 및 정맥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에 대한 비교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실혈을 줄이기 위해 tranexamic acid (TXA)를 정맥 주사하는 것과 배액관을 통한 관절 내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XA의 투여 방법은 2015년 8월 이전에는 정맥 주사하였고, 그 이후에는 관절 내 봉합 후 관절 내로 배액관을 통해 도포하였다. 정맥 주사 편측군(intravenous unilateral, IVU), 양측군(intrav...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152 - 158
Main Authors 이광철, 김동휘, 이정우, 강신욱, 조성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4.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8.53.2.15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실혈을 줄이기 위해 tranexamic acid (TXA)를 정맥 주사하는 것과 배액관을 통한 관절 내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XA의 투여 방법은 2015년 8월 이전에는 정맥 주사하였고, 그 이후에는 관절 내 봉합 후 관절 내로 배액관을 통해 도포하였다. 정맥 주사 편측군(intravenous unilateral, IVU), 양측군(intravenous bilateral, IVB), 관절강내 편측군(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양측군(intraarticular bilateral, IAB) 각각 4군으로 나눠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률 수치, 배액량, 수혈 빈도, 평균 수혈량 및 실혈량과 합병증발생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배액량은 IVU에서 558.08±296.29 ml, IAU에서 498.39±199.70 ml로 IAU에서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1,110.39±396.23 ml, IAB에서 827.14±282.47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수혈 빈도는 IVU에서 5/50명(10.0%), IAU에서2/44명(4.5%)으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 16/54명(29.6%), IAB에서 1/35명(2.9%)으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평균 수혈량은 IVU에서 44.80±144.71 ml, IAU에서 21.80±106.86 ml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IVB에서 177.80± 321.00 ml, IAB에서 18.30±108.18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실혈량은 IVU에서 1,318.70±724.20 ml, IAU에서 963.28± 454.03 ml로, IAU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 IVB에서 1,837.40±699.70 ml, IAB에서 1,337.60±382.20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IVU에서 1예 발생하였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TXA의 관절 내 도포는 정맥 주사보다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양측 인공관절 치환술시 수혈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lood loss between two injection methods, intravenous (IV) and intra-articular (IA) methods via drain tub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3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between October 2013 and March 2016 were included. The method of tranexamic acid (TXA) administration was intravenously injected before August 2015, and it was applied thereafter to the joint through a drainage tube post intra-articular suture. Ou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he intravenous unilateral (IVU), intravenous bilateral (IVB), 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and intra-articular bilateral (IAB) groups. Hemoglobin and hematocrit, drainage amount, transfusion frequency, mean transfusion volume, and blood loss, as well as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Drainage amount was 558.08±296.29 ml in IVU, and 498.39±199.70 ml in IAU; there was less drainage in IAU than in IVU, but without significance (p=0.262). Moreover, the drainage amount was 1,110.39±396.23 ml in IVB and 827.14±282.47 ml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Transfusion frequency was 5 patients (10.0%) in IVU and 2 patients (4.5%)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442). Moreover, the frequency was 16 patients (29.6%) in IVB and 1 patient (2.9%)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B group (p=0.002). Mean transfusion volume was 44.80±144.71 ml in IVU and 21.80±106.86 ml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389); the volume was 177.80±321.00 ml in IVB and 18.30±108.18 ml in IAB,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Blood loss was 1,318.70±724.20 ml in IVU and 963.28±454.03 ml in IAU,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U (p=0.006); blood loss was 1,837.40±699.70 ml in IVB, and 1,337.60±382.20 ml in IAB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Complications included deep vein thrombosis in one case in IVU. Conclusion: In TKA, IA injection of TXA significantly reduced blood loss compared with IV injection, especially in bilateral TKA. KCI Citation Count: 2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8.53.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