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짐볼, 토구운동과 시니어댄스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피험자들은 25명이 참가하였으며, 이들을 두 집단(저항운동집단 13명, 유산소운동집단 12명)으로 나누었다. 나이는 65-80세 사이였다. 피험자들은 짐볼, 토구 및 시니어댄스운동을 일주일에 3일, 하루 70분으로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16주간의 저항성 및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을 통해서 여성노인들의 보행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특히 저항성운동프로그램이 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통합의학회지, 6(3) pp. 103 - 112
Main Author 변재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통합의학회 01.09.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1174
2383-96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짐볼, 토구운동과 시니어댄스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피험자들은 25명이 참가하였으며, 이들을 두 집단(저항운동집단 13명, 유산소운동집단 12명)으로 나누었다. 나이는 65-80세 사이였다. 피험자들은 짐볼, 토구 및 시니어댄스운동을 일주일에 3일, 하루 70분으로 총 16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16주간의 저항성 및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을 통해서 여성노인들의 보행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특히 저항성운동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16주간의 운동프로그램 후에 체력의 전반적인 요소들에서 향상되었으며, 특히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에서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가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보다 더 큰 효과가 있었다. 여성노인들에게 16주간 운동프로그램의 실시는 체중, 체지방율, BMI를 효과적으로 개선시켜줄 수 있었다. 결론 : 여성 노인들에게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보다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을 더 개선시켜 주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effects of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on gait ability,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s in older women. Method : The subjects were 24 older women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resistance exercise, n=12, and aerobic exercise, n=12). They 65~80 years old. The subjects done the Gym-ball, Togu, and senior dance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for 70 minutes each time for 16 weeks. Body compositions, physical fitness, and gait ability were measured in this study. Result :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walk performance after exercise training for 16 weeks. In particular, it was more effective o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in older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body weight, percent of body fat, and body mass index (BMI) after the exercise program. Conclusion : It was more effective improved on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performance after resistance exercise program than an aerobic exercise program in older women. KCI Citation Count: 2
ISSN:2288-1174
2383-9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