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30명을 두 그룹(불안정한 지면 훈련, 안정적인 지면 훈련)으로 나누어 6주간 주 3회, 회기당 30분 훈련을 실시하엿다. 고유수용성감각의 평가는 Dualer IQ 디지털 경사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균형은 동요거리(SL), 동요면적(SA), 안정성한계(LOS)를 측정하였고 도수근력검사기를 통하여 근력을 측정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통합의학회지, 6(3) pp. 59 - 7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통합의학회
01.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1174 2383-9651 |
Cover
Summary: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30명을 두 그룹(불안정한 지면 훈련, 안정적인 지면 훈련)으로 나누어 6주간 주 3회, 회기당 30분 훈련을 실시하엿다. 고유수용성감각의 평가는 Dualer IQ 디지털 경사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균형은 동요거리(SL), 동요면적(SA), 안정성한계(LOS)를 측정하였고 도수근력검사기를 통하여 근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불안정한 지면과 안정적인 지면에서 발목균형훈련을 한 두 그룹 모두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의 하위척도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 하지만 중재 전후 변화량의 비교에서는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불안정한 지면과 안정적인 지면에서의 훈련 중 어느것이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 : 불안정한 지면과 안정적인 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은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nkle balance trai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s to discover on which surface the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of obese middle aged women improves more.
Method: 30 obese middle-aged women were randomly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training on a stable surface). The subjects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six weeks, three times per week for 30 minutes each session. Proprioception was measured using Dualer IQ digital inclinometer; sway length (SL) and sway area (SA) of center of pressure, and limit of stability (LOS) were measured for balance; muscle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as measured using manual muscle test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ubscales of the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ankle balance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and in those who participated on the stable surface. Therefore, the training of participants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s did not identify which ankle balance training technique was more effective.
Conclusi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 ankle balance training are both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of obese middle-aged woma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8-1174 2383-96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