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최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감정지능이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목적은 호텔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는 횡단적 실증조사연구이다.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을 저하시키고, 감정노력은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며, 감정이해능력과 타인감정이해능력은감정노력과 작용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여 주는 조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호텔종사자들이 직무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긍정적으로 조절하여 직무만족을 향상...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pp. 166 - 17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8.26.3.166 |
Cover
Summary: | 최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을 조절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으로 감정지능이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목적은 호텔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것이다. 본 연구는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는 횡단적 실증조사연구이다. 감정부조화는 직무만족을 저하시키고, 감정노력은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며, 감정이해능력과 타인감정이해능력은감정노력과 작용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여 주는 조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호텔종사자들이 직무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긍정적으로 조절하여 직무만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감정지능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of hotel employees and to find a wa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them.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empirical study conducted for hotel employees in Korea. A total of 314 complete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Emotional dissonance decrease job satisfaction, but emotional effort improves it. “Ability to understand emotion” and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emotion” are moderating factors that increase job satisfaction joining with emotional effort.
Conclusions: In order for hotel employees to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job satisfaction by positively moderating emotional labor."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547/kjsr.2018.26.3.166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8.26.3.1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