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추부 전방수술후 발생한 급성심근경색과그 치료로 인해 생긴 후인두 혈종 사례보고

연구 계획: 증례보고. 목적: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가 경추부 전방수술을 한 후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및 이로 인한 후인두 혈종이 생긴 예를 보고하고, 지속적인 출혈성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예방적으로 기관내 삽관을 하는 것이 유용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부 전방 수술후 후인두 혈종으로 인한 기도폐쇄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가장 위험한 합병증으로 발생시 의료진의 빠르고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기저질환으로 관상동맥 질환이 있었던 61세 남자가 경부 통증과 죄측 상지 방사통이 유발되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190 - 195
Main Authors 김정은, 강영진, 박성욱, 이동기, 석경수, 김건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척추외과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4378
2093-43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 계획: 증례보고. 목적: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가 경추부 전방수술을 한 후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및 이로 인한 후인두 혈종이 생긴 예를 보고하고, 지속적인 출혈성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예방적으로 기관내 삽관을 하는 것이 유용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부 전방 수술후 후인두 혈종으로 인한 기도폐쇄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가장 위험한 합병증으로 발생시 의료진의 빠르고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기저질환으로 관상동맥 질환이 있었던 61세 남자가 경부 통증과 죄측 상지 방사통이 유발되어 수술을 하였다. 수술 이틀 후 환자는 급성심근경색이 유발되어 응급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였고 복용하는 약물로 인해 수술부위의 후인두 혈종이 발생, 기도를 압박하여 의료진은 기도 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기관내 삽관을 하였다. 결과: 환자는 기관내 삽관을 하여 기도 폐쇄를 예방할 수 있었고 수술부위 및 심장질환 모두 임상적 이상소견 없이 퇴원하였다. 결론: 경추부 전방 수술을 한 후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으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항혈전제 복용으로 인한 후인두 혈종 발생시 예방적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preventive intubation to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llowing an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pharyngeal hematoma occurs more to a patient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myocardial infarction following an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And postoperative airway obstruction due to it is one of the most serious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Preventive intubation was tried and it was useful for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61-year-old man suffered from neck pain and radiating pain on left upper extremity was performed an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After operation, he complain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ymptoms and Emergenc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as performed. After that, postpharyngeal hematoma appeared and compressed the airway. Intubation was performed to prevent airway obstruction. Result: Airway obstruction was prevented through early intubation. Hematoma evacuation and insertion of Hemovac performed and the patient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such as neurologic or cardiac problems. Conclusion: Preventive intubation to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llowing an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is useful for treatment of airway obstruction due to postpharyngeal hematom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2174.2013.20.4.006
ISSN:2093-4378
2093-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