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후 케이지 침강의 위험 인자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진단 받고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 가능한 케이지 침강의 위험 인자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체질량 지수, 골밀도, 케이지의 특성(종류 및 크기) 및 수술 중 요추 추간판 간격의 신연 정도가 후방 추체간 유합술 후 케이지 침강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본원에서 요추의 퇴행성 질환 진단 하에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가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100 - 107
Main Authors 이동영, 정순택, 홍창화, 최영락, 강병훈, 김동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93-4378
2093-43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진단 받고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 가능한 케이지 침강의 위험 인자에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체질량 지수, 골밀도, 케이지의 특성(종류 및 크기) 및 수술 중 요추 추간판 간격의 신연 정도가 후방 추체간 유합술 후 케이지 침강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본원에서 요추의 퇴행성 질환 진단 하에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가능하였던 69명(93분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케이지 침강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을 분석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95% 신뢰구간에서의 odds ratio (OR)를 계산하였다. P-value가 0.05 미만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유합을 시행한 분절의 위치와 케이지 침강의 발생과는 관계가 없었으며(p=0.588), 유합에 사용된 케이지의 종류(titanium or Poly-Ether-Ether- Ketone (PEEK))도 침강 발생과 관계가 없었다(p=0.371).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단변량 분석에서 p값이 0.2 이하인 인자들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당뇨(p=0.029, OR, 4.524), 골다공증(p=0.026, OR, 6.046) 그리고 추간판 간격의 신연 정도(p=0.010, OR, 1.446)가 후방 추체간 유합술후 1년 째 발생한 케이지의 침강과 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지의 침강은 후방 내고정물의 유실(instrument failure)과 관계가 있었다(p=0.008, OR, 8.235). 결론: 골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당뇨 및 골다공증의 이환은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후 케이지 침강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수술시 추간판 간격의 과도한 신연 후 케이지 삽입은 향후 케이지 침강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subsidence afte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Body mass index (BMI), bone mineral density (BMD), cage characteristics (titanium or poly-ether-etherketone (PEEK)) and degree of disc distraction are risk factors for cage subsidence after PLIF.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January 2015, a total of 69 patients (93 segm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generative lumbar spine disease at the current authors’ institution and underwent follow-up for at least 1 year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Data on all factors related to cage subsidence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degree of association for each of the factors was determin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odds ratios (ORs)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P-value that represen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below 0.05.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fused segment level and cage subsidence (p=0.588), nor were there an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kind of cage (titanium or PEEK) and cage subsidence (p=0.371).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factors with a P-value below the 0.20 level in univariate analyses were included in the multivariate analyses. In multivariate analyses, diabetes mellitus (DM) (p=0.029, OR, 4.524), osteoporosis (p=0.026, OR, 6.046), and degree of disc distraction (p=0.010, OR, 1.446)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age subsidenc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cage subsidence and instrument failure (p=0.008, OR, 8.235). Conclusions: DM and osteoporosis, which may affect bony structures,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age subsidence after PLIF. Cage insertion with excessive disc distraction during surgery may also affect cage subsidence after PLIF.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2174.2016.23.2.007
ISSN:2093-4378
2093-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