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지하수위 변동법과 지하수 모델링에 의한 지하수 함양률 비교 분석: 여주시 강천유역을 중심으로

지하수 함양률은 지역 지하수계에서 지속가능한 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주시 강천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모델링과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률을 산정하고, 두 방법을 서로 비교·검토하였다. 지하수 모델링에 의한 강천유역(104.77 km2)의 지하수 함양률은 연평균 강수량의 18.13%로 산정되었다. 30년 평균 유효 강수량과 지하수위 자료 그리고 토양층의 입도분석자료를 이용한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하면,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17.81%로 나타났다. 지하수 모델링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4(2) pp. 169 - 181
Main Authors 노달님, 박현진, 정재열, 함세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4.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8.54.2.1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지하수 함양률은 지역 지하수계에서 지속가능한 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여주시 강천유역을 대상으로 지하수 모델링과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률을 산정하고, 두 방법을 서로 비교·검토하였다. 지하수 모델링에 의한 강천유역(104.77 km2)의 지하수 함양률은 연평균 강수량의 18.13%로 산정되었다. 30년 평균 유효 강수량과 지하수위 자료 그리고 토양층의 입도분석자료를 이용한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하면,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17.81%로 나타났다. 지하수 모델링에 의한 지하수 함양률은 연구지역 전체를 대표하지만 국지적인 지하수 함양률을 대변하지 못한다. 한편,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으로 연구지역내 5개 지하수 관측공에서 산정한 지하수 함양률은 국지적인 지점을 대표할 수는 있으나, 연구지역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아울러서, 복합 지하수위 변동법은 강수에 따라 지하수 함양이 민감하게 일어나는 충적층 지역에 더 잘 적용되며, 지하수 함양률이 낮은 기반암이나 저 투수 지층에는 적용하는 것이적절치 않다고 보인다. Groundwater recharge rate is key parameter to estimate sustainable yield of a local groundwater system. This study 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of the Gangcheon watershed in Yeoju City by using groundwater flow modeling and hybrid water-table fluctuation (hybrid-WTF) method and compared groundwater recharge rates from the two methods. The recharge rate of the Gangcheon watershed (104.77 km2) was 18.13% of the annual precipitation was estimated by groundwater flow modeling. Using average effective precipitation for 30 years, groundwater level data, and particle size analysis data of the soil layers,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rate by the hybrid-WTF method was 17.81%.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estimated by groundwater flow modeling can represent the whole study area but cannot precisely represent local groundwater recharge rate. On the other side, the hybrid-WTF method can properly estimate local groundwater recharge, while the method cannot represents the whole study area. Besides, the hybrid-WTF method may be preferably applicable to alluvial regions that groundwater recharge is sensitively related to rainfall, but isn’t properly applied to low permeability layer or bedrock areas in which groundwater recharge rate is low. KCI Citation Count: 3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8.54.2.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