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과정의 근감소증 방지를 위한 근기능 강화 운동
본 연구는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sarcopenia)의 원인과 기전을 살펴보고, 고령자의 근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여 근감소증으로 인한 고령자의 낙상, 상해 및 건강의 문제점을 처치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근감소증은 성장관련 호르몬(GH & IGF-1)의 감소, 근신경계의 변화, 성호르몬 농도의 감소, 혈관염증인자(IL-1β, IL-6, TNF-α)의 증가, 단백질 섭취감소, 흡연, 산화성 스트레스 증가, 지방증가, 신체의비활동으로 인하여 근육량의 감소와 근육의 질이 저하되면서발생하여 이로 인하여 고령자의...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pp. 187 - 19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비만학회
01.1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6235 2508-757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sarcopenia)의 원인과 기전을 살펴보고, 고령자의 근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여 근감소증으로 인한 고령자의 낙상, 상해 및 건강의 문제점을 처치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근감소증은 성장관련 호르몬(GH & IGF-1)의 감소, 근신경계의 변화, 성호르몬 농도의 감소, 혈관염증인자(IL-1β, IL-6, TNF-α)의 증가, 단백질 섭취감소, 흡연, 산화성 스트레스 증가, 지방증가, 신체의비활동으로 인하여 근육량의 감소와 근육의 질이 저하되면서발생하여 이로 인하여 고령자의 신체적 장애(disability), 유병률(morbidity) 및 사망률(mortality) 등이 증가한다고 알려져있다. 고령자의 근력을 비롯한 근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비대보다는 근신경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저항성 운동, 유연성운동, 균형운동 및 이동성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것이효과적이다. 운동강도는 중 혹은 고강도의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탄성밴드, 모래주머니 및 가벼운 덤벨을 이용하여 적어도 주 2회 실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저항성 운동과 함께 유연성 및 균형운동이 몸통과 하지의 자세조정 관련 근육의 근력을 강화시키며 특히 발목, 엉덩이 및 무릎등의 복합관절부위를 강화시킴으로써 균형감을 증진시켜 이동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아울러 고령자에게 목표에 대한 자신감과 용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s and mechanisms of sarcopenia in the aging population and it prescribed exercise programs that would improve muscle functions in elderlies.
Aging is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ecline of muscle mass, strength, and quality, an overall condition known as sarcopenia during aging. Sarcopenia is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as in decrease of growth hormone and sex hormone, neuromuscular change, increase of blood inflammation markers, decrease of protein intake, smoking,increase of oxidative stress, increase of fat mass and decrease of physical activity. Results showed that combination of various exercise programs such as resistance training, flexibility, balance and functional exercises could improve muscle strength and muscle quality in elderlies.
Moderate to high intensity exercise for at least twice a week with the use of sand bag weights or dumbbells are recommended for this aging popul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hange in posture as a result of improved muscular strength after the participants had performed resistance training together with flexibility and balance exercises.
Improved muscular strength surrounding the ankle, knee and hip areas also enhanced balance and functional movements.
Lastly, there is a need for exercise trainers or coaches to provide motivation and encouragement to these elderli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KCI Citation Count: 20 |
---|---|
Bibliography: | G704-001955.2012.21.4.003 |
ISSN: | 2508-6235 2508-75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