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구문소 구하도 퇴적단면의 연대측정을 통한 하도(황지천)의 유로 변화 연구
구하도는 과거에 하천이 흘렀던 곳으로, 강원도 태백시의 구문소 인근에는 구문소로 황지천이 관통하기 이전의 구하도로 추정되는 저지대에 퇴적층이 위치하고 있으며, 퇴적층의 특성과 OSL 연대측정을 통하여 유로변화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퇴적층은 크게 두 개의 단위로 구별할 수 있으며, 기반암인 석회암 상위에쌓여있는 하부층은 모래질 자갈층으로 역은 소하도 형태를 보이며 수차례 반복 누적되어 있으며 소형 망상하천내에서 내부 유로 변경에 따라 사질 또는 역질 사주가 측방 혹은 하류 방향으로 성장하면서 형성한 퇴적층으로추정되는데, 약...
Saved in:
|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2(1) pp. 51 - 56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2.2016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0435-4036 2288-7377 |
| DOI | 10.14770/jgsk.2016.52.1.51 |
Cover
| Summary: | 구하도는 과거에 하천이 흘렀던 곳으로, 강원도 태백시의 구문소 인근에는 구문소로 황지천이 관통하기 이전의 구하도로 추정되는 저지대에 퇴적층이 위치하고 있으며, 퇴적층의 특성과 OSL 연대측정을 통하여 유로변화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퇴적층은 크게 두 개의 단위로 구별할 수 있으며, 기반암인 석회암 상위에쌓여있는 하부층은 모래질 자갈층으로 역은 소하도 형태를 보이며 수차례 반복 누적되어 있으며 소형 망상하천내에서 내부 유로 변경에 따라 사질 또는 역질 사주가 측방 혹은 하류 방향으로 성장하면서 형성한 퇴적층으로추정되는데, 약 7만년 이전부터의 하천 활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하천이 지금의 구문소 방향으로 장애 석회암 지형을 부분 관통하며 유로변화가 일어났고 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부층이 축적되었는데, 하부층에 비하여 평균 입도는 감소하고 작은 역들은 일부 표면이 산화되어 관찰된다. 연대측정 결과 약 3만년경에는 황지천 하도 유로의 구문소 부근 장애지형 부분 관통됨으로써 유수가 이원화되어 흘렀고, 약 1만년 이후에는 더 이상 구하도 지역으로 유수가 흐르지 않고 현재의 유로로만 황지천이 흐른 것으로 해석된다. An abandoned channel (or paleo-channel) was once a river channel, but no longer is active due to avulsion. The sedimentary layers located at an abandoned channel of Hwangji Stream was trenched and have been dated with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method, in order to elucidate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paleo-channel around Gumunso in Taebaek, Korea. The sedimentary sec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A lower part is sandy gravel sediments, consisting of repeated small channel-shaped layers, which had been formed as sandy or gravelly bar deposits of lateral and downward accretion within a braided stream since 70,000 year BP.
The upper part is finer sediments including small oxidized gravels which have been deposited after the HwangJi Stream penetrated partially a downward limestone topographic barrier since 30,000 year BP. At that time the stream was bifurcated into two pathways, and the old channel was still active but the discharge decreased rapidly resulting in finer sandy gravelly deposition representing flooding times. Finally since 10,000 years BP the paleo-channel of Hangji Stream has not been active any longer.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G704-000209.2016.52.1.008 |
| ISSN: | 0435-4036 2288-7377 |
| DOI: | 10.14770/jgsk.2016.52.1.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