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장 유입∙유출수 내 EDC/PPCPs의 발생 특성

서울 인근의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유입/유출수에 내포되어 있는 31개의 미량 EDC/PPCPs(내분비계장애물질/의약∙개인관리용품물질)의 발현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입수에서 검출된 EDC/PPCPs의 용도별 분류에 따른 총농도 관점의 발현 비율은 각성제(59.67%), X선 조영제(20.20%), 난연제(9.00%), 기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수의 경우에는 베타 차단제(30.54%), 난연제(20.49%), X선 조영제(18.17%), 기타 등의 순으로 발현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대상 미량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pp. 781 - 790
Main Authors 이민주, 유재나, 오재일, 김현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환경공학회 01.09.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025
2383-78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서울 인근의 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유입/유출수에 내포되어 있는 31개의 미량 EDC/PPCPs(내분비계장애물질/의약∙개인관리용품물질)의 발현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입수에서 검출된 EDC/PPCPs의 용도별 분류에 따른 총농도 관점의 발현 비율은 각성제(59.67%), X선 조영제(20.20%), 난연제(9.00%), 기타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수의 경우에는 베타 차단제(30.54%), 난연제(20.49%), X선 조영제(18.17%), 기타 등의 순으로 발현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대상 미량물질의 전반적인 농도 검출 범위는 다른 국내 선행연구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연구결과와 비교해서는 상당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 지역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일부 의약물질항목에 따라서는 수천 배의 농도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선택된 9개의 의약물질에 대해 유입수와 유출수의 예상환경농도(PEC)를 계산하고 실제 측정된 농도(MEC)와 비교한 결과 물질별 발현 농도 수치 관점에서는 큰 편차를 보였으나, 물질별 상대적 발현 빈도 순서 관점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31 selected EDCs(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and PPCPs(Pharmaceutical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 the influent and effluent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WWTP) nearby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hemical compounds of EDC/PPCPs detected from the plant influent sample include stimulant, X-ray contrast media and fire retardant. The total amount of each compound class were 59.67%, 20.20% and 9.00% respectively. However, in the effluent sample, the major micropolutants detected were oral beta-blocker(30.54%), fire retardant(20.49%), X-ray contrast media(18.17%). The EDC/PPCPs occurrence levels of this study were somewhat lower than previous domestic studies'. When compared to those of overseas, the values were even lower. Some pharmaceutical compound levels particularly measured in European studies were even several thousand times high. This study then compared PECs(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and MECs(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of 9 selected pharmaceuticals compounds. The calculated PECs were substantially different with the MECs, while the occurrence order between the PECs and MECs in terms of concentrations of the compounds were similar.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098.2009.31.9.015
ISSN:1225-5025
2383-7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