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참가자의 만족도의 선행요소와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 중심
본 연구는 축제 방문객 만족도를 이해하고 사후행동의사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축제참가자의 만족도, 충성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가치의 선행변수로서 축제서비스품질은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는 7개의 차원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향후 국내 문화관광축제에 적용할 수 있는 축제서비스품질 차원으로 일반화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
        Saved in:
      
    
          |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22(5) pp. 3049 - 3080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10.2009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축제 방문객 만족도를 이해하고 사후행동의사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축제참가자의 만족도, 충성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가치의 선행변수로서 축제서비스품질은 구조적 안정성을 지니는 7개의 차원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향후 국내 문화관광축제에 적용할 수 있는 축제서비스품질 차원으로 일반화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모형은 축제참가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개념적 모형으로 구조적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각 변수들의 경로계수 또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축제서비스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각된 가치를 매개하여 나타나고 있음이 규명되었으며 이는 지각된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본 연구의 모델이 축제참가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ng local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loyalt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being recognised as a important concept both for understanding local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for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as antecedents of perceived value have 7 structurally verified dimensions, which are not likely as previous literature.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y can be used as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in the following studies.
Second, it is verified that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has structural validity for evaluating festival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EM model indicate that all of the coeffici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say that perceived valu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influence of festival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predicting that conceptual model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festival participants's satisfaction. KCI Citation Count: 28 | 
|---|---|
| Bibliography: | G704-000789.2009.22.5.013 |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