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활동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조직시민행동(OCB)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CSR활동의 유형을 윤리적, 재량적인 두 가지 활동으로 분류하고 두 유형의 CSR과 정서적 조직몰입, OCB,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은 CSR을 실천하는 일반 기업 34개 업체에 근무하는 238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윤...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25(7) pp. 3085 - 310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10.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이 조직시민행동(OCB)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CSR활동의 유형을 윤리적, 재량적인 두 가지 활동으로 분류하고 두 유형의 CSR과 정서적 조직몰입, OCB,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은 CSR을 실천하는 일반 기업 34개 업체에 근무하는 238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윤리적 CSR활동은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검증에서도 윤리적 CSR은 OCB와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특히, CSR과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국내·외에 걸쳐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에 의해 윤리적 CSR이 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는 새로운 실증연구결과가 이번 연구를 통해 도출되었다. 하지만 재량적 CSR은 정서적 조직몰입과 OCB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기업의 윤리적 CSR활동은 그 자체로 소속 구성원들로 부터 조직에 대한 몰입 및 조직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공헌과 헌신을 이끌 수 있는 내적 동기요소를 가지는 중요한 가치 활동임을 입증하였다. 한편, 기업이 지역단체에 대한 기부활동과 같은 재량적 CSR활동을 실천할 때에는 조직 내에 그 중요성을 전파하고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포함하는 내부적인 절차적 공정성의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or effect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AOC)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ntention of Turnover(IOT) including the influences of CSR activities on AOC, OCB, IOT. Six hypotheses between two types of CSR activities and AOC, OCB, IOT are suggested after classifying CSR activities into two types; Ethical CSR, Discretionary CSR. To verify them, using a sample of 238 employees working for 34 compan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ses empirically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m.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show that The ethical CSR activity is influencing on AOC, OCB positively and AOC has mediator effects between Ethical CSR and OCB, IOC respectively; a partial effect on OCB, a perfect effect on IOC. A mediator effect of AOC between Ethical CSR and IOT is a new empirical result coming out of this study. However, The discretionary CSR is not supported that it influences AOC, OCB. This study recommends The ethical CSR activity has a value itself for employee's good citizenship behavior by motivating them internally which is necessary for company's contextual performance that is a key factor for success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on current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39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2.25.7.002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