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탐구(Appreciative Inquiry)을 통한 조직변화 / 혁신
본 연구는 조직개발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긍정 탐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이해 철학적․이론적 배경, 원리 및 실행체계, 실제 사례 등을 살펴보면서, 긍정 탐구가 조직개발 기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직면해야 할 과제 및 도전에 대해 검토하였다. 긍정 탐구는 긍정적 사고나 긍정적 질문 및 대화 방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변화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현실 구성 및 창조의 과정으로 보려는 일종의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 탐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 혁신적 접근방법으로서 긍정 탐구에...
        Saved in:
      
    
          |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26(10) pp. 2627 - 2649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10.201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조직개발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긍정 탐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이해 철학적․이론적 배경, 원리 및 실행체계, 실제 사례 등을 살펴보면서, 긍정 탐구가 조직개발 기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직면해야 할 과제 및 도전에 대해 검토하였다.
긍정 탐구는 긍정적 사고나 긍정적 질문 및 대화 방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변화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현실 구성 및 창조의 과정으로 보려는 일종의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긍정 탐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 혁신적 접근방법으로서 긍정 탐구에 대한 정당한 평가인지, 단지 경영층의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이 유행으로 나타난 것인지에 대해 이론적, 실증적 평가를 통해 정교화해 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비판들을 건설적으로 통합하고 정교한 이론 체계로 긍정 탐구를 발전시키는 것은 조직개발 및 변화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접근 및 실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explore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Appreciative Inquiry as a new paradigm in a field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its process and principles but also to discuss the possibility for AI to be widely accepted as an organizational change intervention by examining challenging issues AI faces.
Since the original concept for “Appreciative Inquiry” was articulated by David Cooperrider, hundreds of people have become involved in co-creating new concepts and practices for doing AI, and for bringing the spirit and methodology of AI into organizations all over the world.
While AI has been steadily gaining recognition in scholarly and practitioner communities as an innovative approach to OD, what we most need are empirical studies that explore successes and failures of AI so that AI can establish itself as a new paradigm of sustainabl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change management, not a fad. KCI Citation Count: 14 |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3.26.10.001 |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