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녀 성인에서 수직진동운동기가 체중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연구배경: 수직진동운동기는 신체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해주는 근력 운동기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의학적인 검증 없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직진동운동기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및 체중과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진동운동기가 체중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의 서울시 일개 의과대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임의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그룹으로 배 정하여 실험군에서는 3개월 동안 최소 주 3회 이상, 10분 간의 수직진동운동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pp. 112 - 119
Main Authors 유정훈, 조희경, 도현진, 최재경, 권혁중, 조동영, 오승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가정의학회 01.02.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443
2092-67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수직진동운동기는 신체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해주는 근력 운동기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 의학적인 검증 없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직진동운동기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및 체중과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진동운동기가 체중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의 서울시 일개 의과대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임의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그룹으로 배 정하여 실험군에서는 3개월 동안 최소 주 3회 이상, 10분 간의 수직진동운동을 시행하도록 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일상적인 생활을 지속하도록 하였다. 두 군의 실험 전과 3개월 후의 공 복 시 체중과 체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연구에 끝까지 참여한 91명(남 56명, 여 35 명)을 남녀별로 분석한 결과 남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 에 체중, 체질량지수,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내장지방 면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자에서는 임상적 의미는 확실하지 않으나 실험군에서 체중(실험군 1.1±1.1 ㎏, 대조군 0.3±1.9 ㎏)과 체질량지수(실험군 0.5±0.4 ㎏/㎡, 대조 군 0.0±0.5 ㎏/㎡), 체지방량(실험군 0.8±0.9 ㎏, 대조군 -0.3±1.4 ㎏), 체지방률(실험군 1.0±1.5%, 대조군 -0.6±2.4%)이 약간 증 가하였다(P<0.05). 이러한 증가는 주로 연구시작 당시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정상체중이었던 여자 실험군에서 증가하였다 (P<0.05). 결론: 수직진동운동기는 젊은 남녀 성인에서 체중 감량 및 체 지방, 내장 지방을 줄이는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근육량을 증가시키는 데에도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Bac㎏round: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s currently being researched for potential therapeutic and exercise performance benefits. Little is known about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hum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s. Methods: One hundred and twelve healthy college stud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one was the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group, the other the control group. The exercise program was more than 10 minute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and the frequency was more than 3 times per week during three months.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were check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point of this study. Results: A total of 91 students finished this study (56 males, 35 femal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muscle mass, fat mass, body fat ratio, visceral fat area betwee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s. In females, slight increase as found in body weight (exercise vs. control; 1.1 ± 1.1 ㎏ vs. 0.3 ± 1.9 ㎏, P = 0.03), body mass index (0.5 ± 0.4 ㎏/㎡, 0.0 ± 0.5 ㎏/㎡, P = 0.002), fat mass (0.8 ± 0.9 ㎏, -0.3 ± 1.4 ㎏, P = 0.008), and fat ratio (1.0 ± 1.5%, -0.6 ± 2.4%, P = 0.03) in the study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linically significant or not. The increase mainly occurred in normal body mass index group in the female study group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body weight and fat mass, visceral fat area and on increasing muscle mass.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343.2009.30.02.002
ISSN:2005-6443
2092-6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