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로서 경피적 수핵성형술
연구 계획: 경피적 수핵성형술에 관한 문헌 고찰목적: 추간판 탈출 및 퇴행성 추간판 질환에서 추간판성 통증의 치료적 중재술로 수핵성형술에 관한 최신 정보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최근 추간판성 통증의 치료적 중재술로 수핵성형술의 사용 빈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합병증이 적고,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고찰결과: 수핵성형술은 추간판 내로 경피적 침습 방법으로 접근하며, 양극성 고주파 장치를 이용해 소작술과 응고술을 혼합하여 추간판 내에 채널을 형...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129 - 13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Summary: | 연구 계획: 경피적 수핵성형술에 관한 문헌 고찰목적: 추간판 탈출 및 퇴행성 추간판 질환에서 추간판성 통증의 치료적 중재술로 수핵성형술에 관한 최신 정보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최근 추간판성 통증의 치료적 중재술로 수핵성형술의 사용 빈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합병증이 적고, 만족할 만한 임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문헌 고찰결과: 수핵성형술은 추간판 내로 경피적 침습 방법으로 접근하며, 양극성 고주파 장치를 이용해 소작술과 응고술을 혼합하여 추간판 내에 채널을 형성하여, 추간판의 부피를 감소시키며 추간판 내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과 생화학적인 매개체인 염증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원리이다. 표준화된 적응증은 아직까지 없으나 방사통 유무나 추간판 조영술의 결과와 관계 없이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연구에서 수핵성형술의 시행 후 성공률에 대해서 다양한 범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수핵성형술이 비교적 최근에 시행되기 시작한 시술로 수핵성형술 후 임상 결과에 대한 장기 추시 연구가 드물며, 각각의 연구마다 추시 연구 기간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이 보완된 대규모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생각된다.
결론: 수핵성형술은 추간판 탈출의 치료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며, 합병증의 빈도도 낮으며, 최소 침습적 시술이라 시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 및노동으로의 복귀도 빨라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퇴행성 변화가 심하지 않은 추간판의 높이가 유지 되어 있는 추간판성 동통이 있는 경우, 수핵성형술은 수술 전에 최소 침습적 시술로 시도해 볼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약칭 제목: 추간판 탈출에 대한 수핵성형술 Study Design: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nucleoplasty.
Objectives: This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current information on nucleoplasty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herniated disc or discogenic back pain in degenerative disc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ucleoplasty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discogenic pain is performed with increasing frequency, and has been reported to involve few complications and to have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lts: In nucleoplasty, the intervertebral disc is approached percutaneously. In this paradigm, a bipolar high frequency device in combination with ablation and coagulation is used to create a channel in the intervertebral disc in order to reduce intervertebral disc volume and to decrease intervertebral pressure and inflammatory markers. Standard indications for nucleoplasty have not been established, bu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rocedure had excellent outcome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radiculopathy or the results of discograph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ir outcomes using various categories, because the procedure is comparatively new. Concomitantly, long-term follow-up studies remain to be performed, and each study reported a different follow-up period.
Conclusions: Nucleoplasty has been found to show an excellent prognosis for discogenic back pain and a low incidence of complications. Moreover, since it is a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it offers improved possibilities for return to daily life and work. If degenerative changes have not progressed to a great extent or the intervertebral level remains intact, nucleoplasty may be considered prior to surgery. Due to the lack of reports on the subject, prospective analyses in the future are requir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