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탄소연대와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 비교를 통한 거문오름 분출시기 연구

거문오름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를 형성한 단성화산체로, 그 형성시기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거문오름 용암류 및 분석층 하부에 있는 고토양층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광여기루미네선스 측정결과 각각 약 1.2만년과 약 8천년의 연대를 얻었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가 OSL 연대보다 오랜 연대를 보이는 것은 고토양 내에 포함된 old carbon 성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확실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20~30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던 거문오름용암동...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3(3) pp. 367 - 376
Main Authors 안웅산, 최정헌, 여은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6.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7.53.3.36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거문오름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를 형성한 단성화산체로, 그 형성시기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거문오름 용암류 및 분석층 하부에 있는 고토양층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광여기루미네선스 측정결과 각각 약 1.2만년과 약 8천년의 연대를 얻었다. 방사성탄소연대측정결과가 OSL 연대보다 오랜 연대를 보이는 것은 고토양 내에 포함된 old carbon 성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논문에서는 확실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20~30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던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약 8천년 전 이후 형성된 매우 젊은 용암동굴임을 새롭게 밝혔다. The eruption timing of the Geomun Oreum scoria cone, which is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Geomun Oreum lava tube system,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yet. In this study, results from quartz OSL and AMS 14C dating on the paleosol underlying the scoria deposits and lava of Geomun Oreum were ca. 8 ka and ca. 12 ka, respectively. Although the overestimation of AMS 14C ages compared with OSL ages is not fully understood here, it is suspected to be from the incorporation of old carbons into the paleosols. The Geomum Oreum lava tube system has long been considered to have formed at ca. 0.2-0.3 Ma. However, this study casts doubts on this traditional view, and shows that it is a very young lava tube formed since about 8 ka. KCI Citation Count: 6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7.53.3.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