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활동과 시간 정보를 적용한 추천 기법에 관한 연구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과 추천을 이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아이템을 추천하기위해사용자의 활동과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반영한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아이템 선택 시 고려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시간 변화에 따른사용자 선호도 변화 정보를 반영한 데이터만을 사용한다. 해당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는 협업 필터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9(3) pp. 543 - 551
Main Authors 윤소영, 윤성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01.03.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5.19.3.5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이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과 추천을 이용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아이템을 추천하기위해사용자의 활동과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를 반영한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아이템 선택 시 고려되는 태그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시간 변화에 따른사용자 선호도 변화 정보를 반영한 데이터만을 사용한다. 해당 카테고리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는 협업 필터링 기법에 태그 정보를 적용하여 추출한 아이템을 추천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태그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한 순위를 기반으로 아이템을 추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hetrec2011-movielens-2k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을 통해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아이템 기반, 사용자 기반 기법보다 추천의 정확성과 적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the use of internet and mobile devices became generalized, users utilizing search and recommendation in order to find the information they want in the midst of various websites have become common. In order to recommend more appropriate item for users, this paper proposes a recommendation technique that reflects the users' preference change following the flow of time by applying users' activity and time information. The proposed technique, after classifying the data in categories including the tag information that is considered at the time of choosing the items, only uses the data that users' preference change following the flow of time is reflected. For the users who prefer the corresponding category, the item that is extracted by applying tag information to collaboration filtering technique is recommended and for general users, ite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ranking calculated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The proposed technique was experimented by using hetrec2011-movielens-2k data set. The experiment result indicat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has been more enhanced the accuracy, appropriacy, compared to item-based, user-based method.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http://www.jkiice.org/
G704-SER000003195.2015.19.3.002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5.19.3.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