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질환에서 동맥 경화증의 새로운 지표인 혈청오스테오프로테게린 농도는 당뇨 및 연령과 연관이 있다
배경 및 목적: 이전의 몇몇 연구에서 혈중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 OPG) 농도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관상동맥 질 환의 정도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 는 혈청 OPG농도와 관상동맥 질환 정도 및 동맥 경화증의 중 등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혈청 OPG 농도와 연관 있는 고식적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관상 동맥 조영술을 통해 50%이상의 관상 동맥 협착이 확 인된 583명의 환자에서 ELISA방법을 이용해 혈청 OPG농도 를 측정하였고 이 중 2...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543 - 548 |
---|---|
Main Authors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7.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5520 1738-5555 |
Cover
Summary: | 배경 및 목적:
이전의 몇몇 연구에서 혈중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
OPG) 농도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관상동맥 질
환의 정도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
는 혈청 OPG농도와 관상동맥 질환 정도 및 동맥 경화증의 중
등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혈청 OPG 농도와 연관 있는
고식적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관상 동맥 조영술을 통해 50%이상의 관상 동맥 협착이 확
인된 583명의 환자에서 ELISA방법을 이용해 혈청 OPG농도
를 측정하였고 이 중 252명은 경동맥 내막 중막 두께(Intima
media thickness, IMT)를 측정하였다.
결 과:
혈청 OPG농도는 경동맥 IMT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
관 관계를 보였고(r=0.184, p=0.003) 관상동맥 질환의 중등
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704 in 1VD vs 2914 in
2VD vs 3046 pg/mL in 3VD, p=0.024).
또한 혈청 OPG농도는 여성(3024 vs 2828 pg/mL, p=
0.003)과 당뇨 환자(3098 vs 2711 pg/mL, p<0.001)에서 유
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연령(r=0.340, p<0.001) 및 당화 혈색
소(r=0.102, p=0.035)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체 질량
지수(r=-0.199, p<0.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
였다.
고 민감성 C 반응성 단백질(high sensitive C reactive protein,
hs-CRP)는 혈청 OPG농도와 연관이 없었으며 관상동
맥의 중등도 및 경동맥 IMT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
었다.
다 변량 분석에 의하면 중간치 이상의 혈청 OPG 농도와 연
관이 있는 독립적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는 연령(odds ratio,
1.053[95% confidence interval, 1.034~1.073]), 당뇨(odds
ratio 1.664[95% confidence interval, 1.149~2.410]), 25
gm/m2이하의 체 질량 지수(odds ratio, 1.625[95% confidence
interval, 1.142~2.314])였다.
결 론:
혈청 OPG 농도는 동맥 경화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생화학
적 지표이며 관상 동맥 질환에서 혈청 OPG의 상승은 특히 당뇨 및 연령과 연관이 있다.
Background and Objectives:There have been reports of an association between osteoprotegerin (OPG) and cardiovasculardisease.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lasma OPG leveland the severity of atherosclerosis, as well as search for conven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plasma OPG level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Subjects and Methods:Plasma OPG levels weremeasured in 583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62±10 yrs, M:F=398:185), using an ELISA method, withCAD confirmed from the coronary angiogram. The intima media thickness (IMT) of the common carotid arterywas also measured in 252 patients. Results:The plasma OPG level was correlated with the IMT (r=0.184, p=0.003), with the median level found to be elev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verity of CAD (2704 in 1VD vs. 2914in 2VD vs. 3046 pg/mL in 3VD, p=0.024). Median plasma OPG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3024vs. 2828 pg/mL, p=0.003) and DM patients (3098 vs. 2711 pg/mL, p<0.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r=0.340, p<0.001) and the HbA1C level (r=0.102, p=0.035), but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BMI(r=-0.199, p<0.001).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high sensitive C reactive protein (hs-CRP) and the plasmaOPG level, and no relation was found between CRP and the severity of CAD or the IMT. From a multivariate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creasing age (odds ratio, 1.053 [95% confidence interval, 1.034-1.073]), DM (oddsratio 1.664 [95% confidence interval, 1.149-2.410]) and a BMI less than 25 kg/mm2 (odds ratio, 1.625 [95% confidenceinterval, 1.142-2.314]) were associated with the supramedian OPG level (2831 pg/mL). Conclusion:Theplasma OPG level might be a biochemical marker of atherosclerosis, and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especially DM and age. (Korean Circulation J 2006;36:543-548)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708.2006.36.7.009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