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중 신경성장인자 농도
배경 및 목적 신경발아는 심실부정맥과 심장돌연사의 발생과 밀접한 관 계가 있으며 혈중 NGF 농도는 이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또한 심근경색과 연관된 심실부정맥은 심장돌연 사의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이미 많은 동물 연구에 서 심근경색 후 NGF와 심실부정맥의 관계를 보고하였으나 인간 대상의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중 NGF 농도가 증가하는지와 심근경색 후 심실 부정맥 발생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가톨릭 대학교...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pp. 16 - 20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심장학회
01.01.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5520 1738-5555 |
Cover
Summary: | 배경 및 목적
신경발아는 심실부정맥과 심장돌연사의 발생과 밀접한 관
계가 있으며 혈중 NGF 농도는 이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또한 심근경색과 연관된 심실부정맥은 심장돌연
사의 가장 큰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이미 많은 동물 연구에
서 심근경색 후 NGF와 심실부정맥의 관계를 보고하였으나
인간 대상의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혈중 NGF 농도가 증가하는지와 심근경색 후 심실
부정맥 발생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가톨릭 대학교 성모병
원에 협심증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10명 (NC group)과 안정형 협심증 15명 (SA group),
급성심근경색 환자 30명 (AMI group)과 programmed electrical
stimulatoion을 시행하여 심실부정맥이 발생했던 24
명 (idiopathic VT group), 총 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MI group은 입원 중 VT나 VF 등의 심실부정맥이 발생했던
14명 (AMI with VT)과 발생하지 않은 16명 (AMI without
VT)으로 나누어 관상동맥조영술 및 관상동맥 중재시술시
채취한 혈액으로, 혈중 NGF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SA group은 NC group에 비해 혈중 NGF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p=0.18), AMI group는 VT의 발
생과 상관 없이 NC group (18.9 pg/mL vs. 10.3 pg/mL, p<
0.05), 및 SA group (18.9 pg/mL vs. 15.1 pg/mL, p<0.05,
respectively)에 비해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VT가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군 (21.2 pg/mL, AMI with VT/
VF group)이 VT/VF의 발생이 없었던 환자군 (18.5 pg/mL,
AMI without VT/VF group)에 비해서 혈중 NGF의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p=0.25). 또한 idiopathic VT group이 NC
group보다 혈중 NGF의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함 (18.7 pg/mL
vs. 10.3 pg/mL, p<0.05)을 보여주었으나 AMI group은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median (interquartile range), 18.9
(8.7) pg/mL vs 18.7 (8.5) pg/mL, p=0.89}.
결 론
급성 심근경색 환자는 정상, 그리고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
비해서 혈중 NGF 농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lasma nerve growth factor
(NGF) effects nerve sprouting.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NGF concentration and the occurrence
of ventricular tachyarrhythmia (VT) has been reported in animal models of myocardial infarction (MI).
Howeve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GF and VT remains unclear in human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NGF is increased in patients with M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NGF and the inducibility of VT was evaluated. Subjects and Methods: We studied 15
patients with stable angina pectoris (SA) and 30 patients with an acute MI (AMI). The patients in the AMI group
were divided into VT occurrence (n=14) and non-VT occurrence groups (n=16). Thirty-four patients suspected
to have VT underwent programmed electrical stimulation (PES) and were divided into an idiopathic VT group
(n=24) and an induced VT with PES {healthy control (C) group; n=10}. Plasma NGF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s: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he AMI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 group {median (interquartile range), 18.9 (8.7) vs. 10.3 (12.5) pg/mL,
p<0.05} and the patients with SA {18.9 (8.7) vs. 15.1 (6.7) pg/mL,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idiopathic VT group {median (interquartile range), 18.9 (8.7) vs. 18.7 (8.5) pg/mL, p=0.8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NGF concentrations between the C and SA groups {10.3 (12.5) vs. 15.1 (6.7)
pg/mL, p=0.18}. In the AMI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NGF concentrations between
patients with VT and those without VT {18.5 (6.7) vs. 21.2 (10.2) pg/mL, p=0.25}. Conclusion: The plasma
NGF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an AMI compared to patients with SA and C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708.2009.39.1.006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