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파일링 수사 지원에 대한 수사관 인식 구조: 촉진과 저해 요인에 대한 다중대응분석1
본 연구는 수사관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 경험 만족 수준에 따라 활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촉진 및 저해 요인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사관 287명의 설문 자료를 바 탕으로, 수사관의 태도 수준과 관련 요인 간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고자 다중대응분석(MCA)을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경험 만족 활용 의향이 모두 긍정적인 집단은 ‘신뢰 관계 형성’과 밀접하게 대응된 반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집단은 ‘수사 방향 변경 우려’, ‘효과 불확실성’, ‘수사에 방해되지 않는 개입’ 등 저 해 요인과 연관되었...
Saved in:
| Published in | 과학수사학회지, 19(3) pp. 238 - 246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과학수사학회
01.09.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466-1422 2466-1430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수사관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지 경험 만족 수준에 따라 활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촉진 및 저해 요인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사관 287명의 설문 자료를 바 탕으로, 수사관의 태도 수준과 관련 요인 간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고자 다중대응분석(MCA)을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 경험 만족 활용 의향이 모두 긍정적인 집단은 ‘신뢰 관계 형성’과 밀접하게 대응된 반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집단은 ‘수사 방향 변경 우려’, ‘효과 불확실성’, ‘수사에 방해되지 않는 개입’ 등 저 해 요인과 연관되었다. 또한 활용 경험이 없거나 인지 수준이 낮은 수사관 집단은 ‘명확한 절차’를 촉진 요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수사관의 태도 수준에 따라 촉진 및 저해 요인이 구조적으로 구분되는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프로파일러의 전문성뿐 아니라 수사관과의 신뢰 기반 협업 및 명확 한 지원 절차 마련이 프로파일링 기법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 요소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vestigators’ attitudes toward offender profiling and the perceived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its use. Based on survey data from 287 investigators,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MCA)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awarenes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relate to willingness to use profiling. Results showed that investigators with positive attitud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cilitator of trust relationship,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s were linked to concern about direction change, uncertain effectiveness, and non-intrusive intervention. Investigators with low awareness or no experience viewed clear procedures as a key facilita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ceived utility of profiling varies structurally depending on investigators’ prior experiences and attitudes. Enhancing collaboration and establishing clear procedures may strengthen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profiling in investig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2466-1422 2466-1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