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타당도 수준에서 단서 타당도에 대한 둔감성: 화살표 단서의 제시조건 탐구

공간적 단서는 표적의 탐지를 촉진하는데, 그 효과는 일반적으로 단서 타당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선행연구(고범준, 박창호, 2022)는 중추 단서의 타당도가 비교적 낮은 범위에 있을 때 타당도의 차이가 단서효과 크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재검토하기 위해 낮은 타당도 수준에서 단서효과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단서 종류와 제시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일반적인 화살표 및 십자 모양의 화살표를 사용하여 단서의 타당도(25% 대 40%)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지과학, 36(3) pp. 65 - 82
Main Authors 고범준, 박창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지과학회 01.09.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4067
DOI10.19066/cogsci.2025.36.3.0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공간적 단서는 표적의 탐지를 촉진하는데, 그 효과는 일반적으로 단서 타당도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선행연구(고범준, 박창호, 2022)는 중추 단서의 타당도가 비교적 낮은 범위에 있을 때 타당도의 차이가 단서효과 크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재검토하기 위해 낮은 타당도 수준에서 단서효과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단서 종류와 제시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일반적인 화살표 및 십자 모양의 화살표를 사용하여 단서의 타당도(25% 대 40%) 효과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타당도 수준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대비 검증에서 화살표 단서에서 유의한 타당도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험 2는 단서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더 큰 화살표 조건, 표적 위치 변동 조건, 단서 확인을 위한 피드백 제공 조건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조건, 큰 화살표 조건, 위치 변동 조건에서 타당도 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이러한 조건에서 참가자가 단서의 타당도 수준에 더 민감해질 수 있었다고 해석된다. 반면, 피드백 조건에서는 타당도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화살표 단서는 보통 중추 단서로 분류되지만 말초적 특성도 가지고 있으며, 낮은 타당도 수준에서 단서의 활용과 타당도 효과는 단서의 말초적 특성, 단서의 정보 가치, 지각된 타당도의 대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facilitatory effect of spatial cues on target detection generally increases as a function of cue validity. However, Ko and Park (2022) reported that under relatively low cue validity, differences in cue valid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agnitude of cueing effects. The present study further examined this issue by testing whether specific cue types and presentation conditions modulate cueing effects under low-validity conditions. In Experiment 1, we tested the effects of cue validity (25% vs. 40%) using standard arrow cues and cross-shaped arrow cues. Although no overall main effect of cue validity emerged, planned contrast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f cue validity across the two arrow cue conditions. In Experiment 2, we introduced conditions designed to facilitate cue utilization, such as enlarged arrow cues, variable target locations, and feedback on cue validity. Significant effects of cue validity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enlarged arrow, and variable target location conditions, indicating greater sensitivity to cue validity in these contexts. No such effect was found in the feedback condition. Although arrow cues are typically classified as central cu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hey may also have peripheral cue characteristic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under low-validity conditions, cue utilization and validity effects are shaped by multiple factors, including peripheral properties, the informational value of the cue, and contrast in perceived cue validit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19066/cogsci.2025.36.3.001
ISSN:1226-4067
DOI:10.19066/cogsci.2025.36.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