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초점 콘택트렌즈의 안축장 연장 억제 효과 평가

목적: 한국의 소아 근시 환자에서 이중초점 콘택트렌즈(MiSight®)의 착용이 갖는 안축장 연장 억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아트로핀 점안액,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치료 효과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2년 1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근시에 대한 경과 관찰을 목적으로 안축장을 측정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초점 콘택트렌즈 22명(36안), 아트로핀 점안액 29명(54안), 각막굴절교정렌즈 44명(80안), 단초점 안경착용 대조군 21명(23안)을 대상으로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활용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4(3) pp. 118 - 126
Main Authors 양태명, 한정모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검안학회 01.09.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919
2384-09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한국의 소아 근시 환자에서 이중초점 콘택트렌즈(MiSight®)의 착용이 갖는 안축장 연장 억제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아트로핀 점안액,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치료 효과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2년 1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근시에 대한 경과 관찰을 목적으로 안축장을 측정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중초점 콘택트렌즈 22명(36안), 아트로핀 점안액 29명(54안), 각막굴절교정렌즈 44명(80안), 단초점 안경착용 대조군 21명(23안)을 대상으로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이중초점 콘택트렌즈와 대조군을 일대일로 비교했을 때 치료 시작 1년 후의 예측값을 바탕으로 구한 대조군 대비 평균 안축장연장값의 차이는 -0.122 m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4). 모든 치료군과 대조군을 함께 비교했을 때 치료 시작 1년 후의예측값을 바탕으로 구한 대조군 대비 안축장 연장값의 차이는 이중초점 콘택트렌즈 -0.120 mm (p = 0.015), 아트로핀 점안액 -0.110 mm (p = 0.044), 각막굴절교정렌즈 -0.155 mm (p < 0.001)로 세 치료군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각 치료 방법 간 안축장연장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중초점 콘택트렌즈는 한국의 소아 근시 환자에서 안축장 연장 예측값의 유의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안축장 연장 억제에 있어서 아트로핀 점안액이나 각막굴절교정렌즈 치료와 비교했을 때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ual-focus soft contact lenses (MiSight®) in suppressing axial length elongation in Korean pediatric patients with myopia and to compare its effect with atropine eye drops and orthokeratology lense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patients with myopia who had axial length measurements from November 2022 to June 2025. The study included 22 patients (36 eyes) wearing dual-focus contact lenses, 29 patients (54 eyes) using atropine eye drops, 44 patients (80 eyes) wearing orthokeratology lenses, and 21 patients (23 eyes) wearing single-vision spectacles as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Results: When comparing dual-focus contact lenses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edicted 1-year mean axial length elongation was 0.122 mm shor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4). In the comparison of all treatment groups with the control group, the predicted 1-year mean axial length elongation differences were -0.120 mm for dual-focus contact lenses (p = 0.015), -0.110 mm for atropine eye drops (p = 0.044), and -0.155 mm for orthokeratology lenses (p < 0.001), all of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xial length elongation between any pair of treatment groups. Conclusions: Dual-focus contact lenses significantly suppressed axial length elongation in Korean children with myopia. However,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tropine eye drops or orthokeratology lenses. KCI Citation Count: 0
ISSN:2384-0919
2384-0927